![]() |
▲ 새누리당 남경필·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후보간 '보육전쟁'이 중앙당으로 전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 문제가 이번 도지사선거의 최대 변수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6·4지방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22일 오전 새누리당 남경필 경기지사 후보(사진 오른쪽)는 수원역에서,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경기지사 후보는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최선을 다해 선거운동에 나설 것임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새누리당 남경필·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후보간 '보육전쟁'이 중앙당으로 전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이 문제가 이번 도지사선거의 최대 변수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3·7면
여야 지도부는 선거운동기간 첫 휴일인 25일 남경필·김진표 경기도지사 후보 총력 지원에 나섰다. 그러면서 김진표 후보의 '보육교사 단계적 공무원화 공약'을 놓고 정면 충돌했다.
새누리당은 "전국 보육교사를 따져보니 23만명에 달한다. 7조원 예산이 드는데 시대정신에 맞겠느냐"고 공격했고, 새정치연합은 "22조 4대강 사업보다는 아이들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맞받아쳤다.
선거운동 시작부터 불 붙은 '보육전쟁'은 지난 24일 안산대학교에서 열린 경기도 보육관련단체 공동초청 정책토론회로 최고조에 올랐다.
보육정책은 7만여명에 달하는 경기도 지역 보육관련 업종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30·40대 젊은 부부 및 정책신뢰도 등과 연계돼 있어 두 후보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다.
여야 모두 경기도지사 선거 결과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의 승패가 갈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전면 지원에 나서면서 '보육전쟁'이 전방위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정책토론회에서 두 후보는 보육정책과 관련된 대부분의 현안에 의견을 같이했지만, 김 후보가 내놓은 '보육교사의 단계적 공무원화' 공약을 놓고는 한치도 물러서지 않았다.
남 후보는 "현실성없는 공약"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어린이집 준공영제 도입'으로 맞불을 놓았다. 김 후보는 "사립학교 교사는 되고, 어린이집 교사는 안 될 이유가 없다"고 정면 대응했다. /김순기·김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