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역 통한 대상지 결정" 밝혔지만 지역 반발 대응 아직
부지 활용한 시민 시설 조성 답변도 구체적 내용 없어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종료 논란은 현재 매립장의 매립 기한인 2016년말이 다가오면서 인천지역 최대 현안으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매립지 지분을 갖고있는 환경부와 서울시는 '대안이 없다'는 논리로 매립기한을 2044년까지로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반면, 인천시민은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먼지 등으로 인한 피해를 더이상 참을 수 없다며 사용 종료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다.
이번 6·4 지방선거를 통해 결정될 시장·구청장·시의원은 매립지의 사용 종료든, 연장이든 두 가지 중 하나를 택해야 하는 입장이다.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한 입장을 묻는 경인일보의 질문에 시장·서구청장·시의원(서구1·2) 선거에 나선 후보들은 모두 '2016년 종료돼야 한다'고 못을 박았다. 매립지 사용기한 연장을 반대하는 시민의 목소리를 수렴한 결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를 어떤 식으로 추진할 것인지에 대해선 명확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우선 후보들은 매립지 사용 종료 결정 과정에서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반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놓지 못했다.
현재 수도권매립지의 시·도별 매립 비율은 서울이 46%, 경기가 37% 수준으로 전체의 70%가 넘는다. 매립 종료에 대한 이들 지역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사용 종료를 이끌어내기 위한 더욱 구체적인 해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매립지 사용 종료후 인천의 쓰레기를 처리할 대체 매립지를 어떻게 조성할지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내용은 없었다.
'용역을 통해 대상지를 결정하고 조성하겠다'는 답변 정도로 그칠 문제가 아니다. 용역을 통해 대체매립지로 결정된 지역의 반발에 대한 조정 방안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
일부 후보는 민간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섬지역에 대체 매립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답변에 담았다. 섬지역 환경문제, 쓰레기 운송비 가중 문제 등이 선결돼야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이다.
매립지 종료후 부지 활용안으로는 '테마파크'나 공원 등 시민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시설로 조성하겠다는 답변이 많았다. 이 역시 조성 규모와 재원 조달 방식 등 구체적인 내용은 답변에 나타나지 않았다.
지역 최대 현안중 하나인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문제에 대한 후보들의 고민이 충분치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가능한 대목이다.
/이현준·김주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