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현 시의원인 새누리당 신광철 후보와 현 시장인 새정치민주연합 유영록 후보, 전 시장인 무소속 김동식 후보는 저마다의 전략으로 한강신도시를 비롯한 지역의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신 후보는 홍철호 김포시 당원협의회위원장의 지원 속에서 치열한 당내 경선을 통과한 경쟁력과 여당 후보로서의 대표성을 강조하고 있다. 김포시 당협위원장은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이 맡았었으나 인천시장 출마로 바뀌었다.
신 후보는 "시정 운영도 기술이다. 36년간 김포시청 근무와 4년간의 지방의회 경험 등 지방자치행정에서 폭넓은 경험을 축적해 기강이 해이된 시청을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포가 수도권의 핵심도시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동아시아 경제권에서 중요한 지리적 요충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성장동력을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찍이 당내 단독 후보로 결정된 유 후보는 임기동안 구축한 '지속가능한 창조도시' 등의 시정 발전을 토대로 가속도를 내겠다며 시민들에게 한 약속은 실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역정가에서는 공과(功過)를 떠나 재선에 성공할 경우 행정효율과 시정 운영의 집적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 중이다.
유 후보는 만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의 무상의료 전면 실시와 북방경제의 시작 '김포 평화시' 조성, 종합(대학)병원 및 대형백화점 유치, 종합문화예술회관 건립, 4년제 대학 및 국제학교 유치, 장릉산 시민공원화 등의 공약을 구체화할 준비를 마쳤다.
무소속 김동식 후보는 '시민이 승리하는 시장이 되겠다'며 선거전을 펼치고 있다. 김 후보의 무소속 출마가 양당 구도의 시장선거 판세에서 어느 후보에 더 불리할지는 선명하지 않다.
다만 신 후보와 같은 양촌읍 출신으로 보수성향 지지층이 겹친다는 점에서 새누리당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김 후보는 "기존 정당정치의 구습이 바뀌지 않는 한 이 시대의 정치는 변하지 않는다"며 "세월호 사태에 실망한 여당 지지층과 야당에 식상한 부동층 유권자들이 대거 자신을 지지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포/김환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