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몰한 세월호 4층 선미 창문 절단 작업에 투입됐던 40대 민간 잠수사가 작업 도중 사망했다.
30일 오후 2시 20분께 세월호 4층 선미 다인실 창문 절단작업 수중 현장에서 충격음과 신음 소리가 들려와 함께 잠수했던 잠수사와 바지 위에 대기 중이던 잠수사가 입수, 2시 40분께 잠수사 이민섭(44)씨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민간잠수사 이씨는 당시 입 안에 피를 머금고 있었고 코와 눈 등에도 출혈이 있었다. 의식을 잃은 이씨는 심폐 소생술을 받은 뒤 오후 2시 48분께 헬기로 목포 한국병원에 이송됐지만 결국 숨을 거뒀다.
병원 측은 민간잠수사 이씨가 오후 3시 25분께 병원에 도착했을 당시 이미 호흡과 의식이 거의 없었으며 오후 3시 35분께 최종 사망 판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박인호 목포 한국병원 신경외과 원장은 "엑스레이와 CT 촬영 결과 양쪽 폐가 외상에 의해 손상돼 사망한 것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사망한 민간잠수사 이씨의 오른쪽 어깨 부위에서도 파란 멍이 발견됐으나 병원 측은 구출 과정에서 멍이 든 것으로 추정했으며 다른 특별한 외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전날부터 선내 붕괴와 장애물로 수색이 불가능했던 4층 선미 다인실의 장애물 제거를 위해 창문 절단 작업을 진행 중이었다.
![]() |
▲ 세월호 참사 45일째인 30일 오후 전남 진도 조도면 세월호 침몰 현장에서 4층 창문 절단 작업중이었던 민간인 잠수사 이모씨가 수중에서 충격음과 신음소리를 내 동료 잠수사가 입수해 구조해 긴급 후송했지만 숨졌다. 범정부 사고대책본부는 이날 공식브리핑을 통해 이씨의 사망을 확인했으며, 시신은 목포 한국병원 영안실에 안치된 상태다. 사진은 민간인 잠수사 이모씨가 후송된 병원 응급의료센터의 외경. /연합뉴스 |
대책본부는 이날 오후 4시 20분께 진도군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하고 민간잠수사 사망 사고 상황을 설명했다.
고명석 공동대변인은 "민간잠수사 이씨는 이날 오후 1시 50분께 4층 선미 외판 절단을 위해 입수했으며 작업 마무리 시점인 2시 20분께 충격음과 함께 이상이 생겼다"며 "정확한 사망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사고 당시 88바지에는 민간 의사 1명과 응급구조사 1명이 상주 중이었다고 대책본부는 밝혔다.
이날 민간잠수사 사망 사고 직후 선미 쪽의 절단 작업은 즉시 중단됐으며 선수 쪽의 잠수 수색은 오후 3시 18분께 종료됐다.
대책본부는 일단 세월호 현장 작업은 일시 중단했으며 다음 정조 시간 작업 재개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책본부에 따르면 민간잠수사 이씨는 인천 해양수중공사 소속이나 이번 절단 작업을 위해 인천의 다른 동료들과 함께 88수중개발에 소속돼 지난 28일 88바지를 타고 팽목항에 도착, 세월호 사고 현장에 투입됐다.
산업잠수전문가들은 산소 아크 절단봉 사용으로 인한 감전사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밀폐된 공간에서 폭발할 가능성은 있지만 외부 작업 시에는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수중에서 기포가 터지거나 긴 잠수시간, 원활하지 않은 산소 공급 등 잠수사에게 패닉을 일으킬 만한 문제가 발생해 사망 사고로 이어졌을 수도 있다고 추측했다.
한편 지난 6일 민간 잠수사 사망에 이어 이날까지 세월호 사고 현장에서 총 2명의 민간잠수사가 사망했으며 연인원 70명 이상의 잠수사들이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