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단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1년 3개월 남짓 지난 후 치러지는 이번 지방선거 승패가 향후 권력 구도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세월호 참사라는 대형사고로 여권이 불리한 시점에서 치러지는 선거로 정권심판론이 먹히고 있지만, 반면 지난 대선 이후 존재감을 잃었던 야권에 대한 평가도 함께 내려진다고 볼때 선거 승패에 따라 정국이 크게 요동칠 것으로 분석된다.
세월호 참사와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사퇴라는 악재 속에서도 새누리당이 승리한다면 일단 '재신임'으로 판단, 여권은 우리 사회의 '적폐'를 걷어내는 동시에 핵심 국정철학인 창조경제를 추진하는 데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여당의 승리는 기존에 차지하고 있던 9개 이상의 광역단체를 가져올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서울 경기 인천의 경우 적어도 1곳 이상의 승리를 하게되면 선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세월호 참사에서 드러난 우리사회의 오랜 적폐, 즉 '관피아(관료 마피아)' 척결과 세월호 참사로 급제동이 걸리긴 했지만 '암 덩어리' 규제의 혁파,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에 더욱 가속 페달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당내에서는 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를 선출하는 7·14 전당대회에서 친박(친 박근혜) 주류가 전면에 나서고, 향후 정국 역시 당권파들이 주도해 나갈 개연성이 크다. 7·30 재·보선의 전망도 밝아진다.
그러나 패배 시에는 정반대의 현상이 벌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수도권 3곳 선거에서 모두 패할 경우 그동안 소통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은 박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이 심각한 도전을 받을 수밖에 없다.
여야 협상에서 야당의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청와대 우위로 규정되고 있는 당·청관계에 대한 변화 요구가 분출하면서 정치 지형은 요동칠 전망이다.
정권 심판론을 앞세운 새정치민주연합의 승리로 끝난다면 정부는 야당은 물론 여당 내부로부터도 거센 도전에 직면하면서 권력누수를 걱정해야 하는 시련을 겪을 수밖에 없다.
정부의 무능·무책임, 김기춘 비서실장 사퇴, 인사쇄신 등을 제기한 야당의 대여 공세가 한층 강한 흐름을 타게 된다.
당장 지방선거 이후 본격화할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과정에서도 주도권을 쥐고 여권을 몰아붙여 7월30일 재보선까지 여세를 몰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재보선에서 승리, 새누리당의 과반의석을 깰 경우 정국의 주도권마저 거머쥘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게 된다.
그러나 패배할 경우 새정치연합은 구심점을 상실하며 걷잡을 수 없는 혼돈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그동안 당 전면에서 밀렸던 친노·구주류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강화되면서 이들이 주도권 재장악을 시도하면 계파싸움이 걷잡을 수 없게 확전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는 경기지역에서 3선 이상 국회의원을 지낸 새누리당 남경필(5선)·유정복(3선), 새정치연합 김진표(3선) 전의원의 정치적 운명이 걸려 있다.
이들이 선거에서 승리할 경우 지역 맹주로 패권을 거머쥘 수 있지만, 낙선할 경우 당장 의원직을 잃고 정치 낭인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