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6·4 지방선거 투표일인 4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7동 제1투표소가 마련된 송파문화원에서 유권자들이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고 있다. /연합뉴스 |
현재로서는 이번 지방선거의 연장전이 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여야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성공적 국정수행-박근혜 정부 성공'과 '세월호 심판론'을 각각 내세우며 전면전을 벌였지만 유권자들은 어느 한 쪽의 손을 일방적으로 들어주지는 않는 '절묘한' 선택을 했다.
이 때문에 이미 가동에 들어간 국정조사를 비롯해 '세월호 국회'가 지속되면서 7·30 재·보선에서도 세월호 이슈가 주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여야는 세월호 참사를 어떻게 잘 수습하느냐에 따라 다시 민심의 심판대에 설 것으로 보인다.
특히 7·30 재·보선은 최소 12곳 이상에서 치러지는 '미니 총선급'이 될 예정이어서 원내의석은 물론 정국주도권을 놓고 여야 간의 피할 수 없는 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5일 현재 현역 의원들의 지방선거 출마와 선거법 위반 등으로 12곳이 이미 재·보선 지역으로 확정됐다.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거나 파기 환송심이 진행 중인 곳이 6곳에 달해 재·보선 지역이 추가될 수도 있다.
우선 새누리당 의원들의 지방선거 출마로 공석이 된 지역은 서울 동작갑(정몽준), 부산 해운대ㆍ기장甲(서병수), 경기 김포(유정복), 대전 대덕구(박성효), 울산 남구을(김기현), 수원병(남경필), 충주(윤진식) 등 7곳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출마한 수원정(김진표), 담양ㆍ함평ㆍ영광ㆍ장성(이낙연), 새정치연합에서 탈당해 무소속 후보로 나섰다 단일화로 강운태 후보에게 후보자리를 내준 이용섭 전 의원의 광주 광산구을 등 3곳도 재·보선 지역이다.
여기에다 경기 평택을(새누리 이재영 전 의원)과 경기 수원을(새정치연합 신장용 전 의원)도 이미 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의원직 상실이 확정돼 재선거가 치러진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서대문을(정두언·새누리), 충남 서산태안(성완종·새누리), 전남 나주(배기운·새정치연합), 전남 순천시·곡성군(김선동·통합진보) 등 4곳은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있어 재·보선 지역은 추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 서구강화을(안덕수·새누리)과 계양을(최원식·새정치연합) 등 2곳은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다.
재·보선 이후 새누리당의 과반의석 회복 여부가 주목된다.
현재 새누리당 의석은 149석으로 과반의석(151석, 300석 기준)이 일시적으로 붕괴된 상태다. 재적 의원을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2명을 제외한 298석을 기준으로 해도 과반의석(150석)을 채우지 못한다.
이번 재·보선에서 새누리당이 최소 2석을 가져와야 과반의석(151석)을 회복할 수 있다.
다만 이미 재·보선 지역으로 확정된 12곳 가운데 기존 새누리당 의원의 지역구가 8곳에 달해 과반의석 복구는 무난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