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재배정에 반발해온 학부모들이 경기도교육청의 전학허용안을 수용, 고교배정사태가 일단락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기피학교'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평준화 정책의 성패를 결정지을 최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도교육청은 다음주 초까지 구체적인 전학 대상및 기준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지만 '기피학교'를 배정받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의 학부모는 물론 이미 이들 학교에 배정된 학부모들까지 '그 학교는 무조건 안된다'며 반발하고 있어 또 다른 진통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교육청의 전학허용안도 학부모 반발에 밀려 '임시처방'으로 내놓은 성격이 강해 기피학교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향후 평준화정책 시행과정에서 악순환이 거듭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내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이 꼽고 있는 대표적 기피고교는 수원 2개, 안양권 1개, 고양과 성남이 각각 4, 5개 등 대략 12개 학교가 거론되고 있다.
이들 학교는 중심지를 벗어난 외곽에 위치해 있거나 과거 평준화 지역내에 있으면서도 평준화 적용에서 제외된 '특수지' 학교들이지만 재배정 사태를 겪는 과정에서 '나이 든 교사가 많다'거나 심지어 '교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등의 터무니 없는 이유로 기피학교군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도교육청은 학생·학부모들의 기피이유가 열악한 교육여건 때문인 것으로 보고 여건개선을 위한 예산배정, 우수교사 배치, 환경개선등 특별지원책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평준화 대상에서 제외할 경우 평준화 정책의 근간 자체가 흔들릴 수 있으므로 특별지원을 통해 학부모의 인식을 불식시키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대다수 교육 관계자들은 학생·학부모의 막연한 선입견이 바뀌지 않는 한 어떤 대책도 실효를 거두지 못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기피학교로 지목되고 있는 학교중 상당수가 통학버스 노선 확대와 건물 증축 등 외부적 환경 개선은 물론 대학진학률도 주변학교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내주초 세부적인 전학절차 지침을 발표하겠지만 기피학교에 대한 학부모 인식과 반발이 최대 걸림돌”이라며 “여건이 낙후된 학교에 대해서는 최대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