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으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창극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는 11일 책임총리를 어떻게 구현할 것이냐는 취지의 질문에 "책임총리 그런 것은 저는 지금 처음 들어보는 얘기"라고 말했다.

문 후보자는 이날 오전 총리 후보자 집무실이 마련된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으로 출근하면서 기자들이 던진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총리후보 지명 전까지 서울대 초빙교수를 지낸 문 후보자는 오후에 서울대에서 마지막 강의를 한 뒤 집무실로 복귀한 자리에서도 "책임총리라는 말을 아예 처음 들었나"라는 질문에 "그렇다. 책임총리라는게 뭐가 있겠나. 나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문 후보자는 "'책임총리'를 처음 들어봤다는게 말 실수인가"라는 질문에 "말 실수를 한 것이 기억이 안난다. 말 실수 한 것 없다"고 재차 확인했다.

문 후보자가 이처럼 '책임총리'를 처음 들어본다고 강조한 것을 놓고 헌법에 이러한 용어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분석과 헌법상 총리의 권한인 국무위원 임명제청권과 해임건의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는 분석, 대통령제하에서 책임총리 구현이 사실상 어려운 현실을 직시했다는 분석 등 여러 갈래의 해석이 나오고 있다. 
▲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으로 출근,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문 후보자는 지난해 '박정희대통령기념재단' 이사를 지내고 당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재단 이사장이었다는 사실이 이번 인사에 작용한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런 것은 잘 모르겠다. 그런 것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야당이 그동안 써온 칼럼을 문제삼아 극단적 보수인사라고 비판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지금은 그런 얘기를 할 시간이 없고, 이제 오늘부터 열심히 청문회를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또 그는 "현역 주필이라면 총리 인선을 어떻게 받아들이겠는가"라는 가정적 상황을 염두에 둔 질문에 "지금은 답변하기가 참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전날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신임 총리 후보로 지명받은 문 후보자는 이날 자신의 제네시스 승용차를 직접 몰고 창성동 별관으로 출근했으며, 서울대에 다녀올 때도 직접 운전대를 잡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