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이 기대와 우려속에 출범했다. 2기 내각은 '친정체제'를 강화해 국정 장악력을 높여 '국가개조'를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실세 친박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의 발탁으로 경제 활성화에 주력하겠다는 뜻도 분명히 하고 있다. 그럼에도 2기 내각을 보는 심정은 착잡하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박 대통령은 개혁성과 국민의 눈높이 등을 인선 기준으로 제시했었다. 하지만 문창극 총리 후보자나 김명수 교육부장관 후보자 등 보수성향이 강한 인사들이 주로 발탁된 것은 여전히 통합과는 거리가 멀다. 2기 내각에 대해 측근들을 전진 배치한 것 이외에 이렇다 할 특징이 없다는 평이 대세를 이루는 것은 아마 이런 이유때문일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월호 참사를 기준으로 상상할 수 없는 커다란 변화에 직면해 있다. 산업화 과정을 거치며 사회 전반적으로 쌓여온 여러 구조적, 관행적 문제점이 고스란히 드러난 것은 물론 관피아 문제 등 사회 곳곳에 쌓인 부조리와 비리를 싹쓸어 버리는 개혁과 쇄신을 요구하는 국민의 뜨거운 기대에 직면했다. 하지만 측근만으로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성과가 이뤄질지는 의문이다. 당장 문 총리 후보의 교회 강연 등 과거 발언과 컬럼 내용은 '뜨거운 감자'로 우리 사회를 들끓게 만들고 있다. 본격적인 2기 내각이 출범하기도 전에 사회통합은커녕 분열의 조짐이 보이고 있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박 대통령 취임 후 우리 사회는 국정원 선거개입 논란과 NLL 녹취록 파문 등으로 국민갈등만 부각되는 등 정권 초기 아까운 시간을 허공으로 날려버렸다. 그리고 세월호 참사가 터졌다. 국민들로부터 '실패한 1기내각'이었다는 비판을 받아도 할 말이 없을 정도로 실망스러웠다. 특히 경제분야는 최악이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번 2기 내각은 그나마 소신있게 경제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실세가 경제정책 전반에 걸쳐 중심을 잡는 경제 컨트롤 타워의 운전대를 잡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금 우리 서민경제는 최악의 길을 걷고 있다. 살아날 기미를 잠시 보였던 부동산 경기도 정책 혼선으로 다시 곤두박질쳤다. 2기 내각은 경제를 필두로 사회 전반에 걸쳐있는 적폐를 거둬내는 막중한 임무도 수행해야 한다. 그만큼 어깨가 무거운 것이다. 국민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통합과 화합의 내각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박근혜 2기 내각의 기대와 우려
입력 2014-06-15 20:0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06-16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문창극 청문회 관련 근로정신대 시민모임 '식민사관 발언 심각, 사퇴하라'(원문)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