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17일 역사인식 논란을 빚고 있는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통한 검증을 거듭 주장하며 정면돌파를 시도했다.

인사청문회 전 자진사퇴를 주장하는 야당에 대해 '배째라당'이라며 비판의 강도를 높이는 한편, 문 후보자에 대한 당내의 불만 목소리를 '톤다운' 시키는데도 주력했다. 그러나 비주류를 중심으로 문 후보자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는 여진은 계속됐다.

이완구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적정 여부를 가리는 법적 절차를 통해 국민의 판단을 구하는 것이 국회의 책임이자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이 비대위원장은 당 비례대표 의원 모임인 '약지회' 조찬 회동에 참석, "국회의원 한분 한분은 헌법기관으로서 본인이 판단하고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저희는 정당이라는 하나의 결사체에 몸담고 있다"고 언급했다. 문 후보자 인준을 위한 당론 결집에 착수한 셈이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새정치연합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안하겠다고 버티니까 세간에서 'BJR당', '배째라당'이라고 한다"고 비판했다.

윤 사무총장은 김대중정부 시절 장상, 장대환 국무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와 본회의 표결을 거쳐 잇따라 낙마한 사례를 들며 "당시 국회는 인사청문회도 하고 본회의 표결을 거쳤다. 이것이 의회 민주주의이고 의회의 기본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윤 사무총장은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 현재 문창극 후보자 인사청문특위 위원장으로 내정된 박지원 의원"이라면서 "박 의원은 인사청문위원장으로서 공정하게 정상적으로 특위를 운영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홍문종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청문회에서 명명백백하게 시시비비를 가려서 그분(문창극) 말씀이 문제가 정말 있다고 생각하면 국회법에 따라 처리하면 되는 것"이라면서 "청문회 절차는 꼭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주류인 김성태 의원은 같은 프로그램에서 "국민 비판여론이 이렇게 거센데 무턱대고 정면돌파를 하겠다고 할 것이 아니라 겸손하고 진지하게 국민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당 지도부는 심각성을 인식하는 가운데 방향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 후보자에 대해서도 "본인이 판단해야 되는 문제"라면서 스스로의 결단을 촉구했다.

당내 초선의원 5명과 함께 문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던 김상민 의원은 '약지회' 조찬회동에서 이 원내대표를 향해 "청문회가 정치공방이 될 것이고, 표결에서 분열될 것이 뻔하다"면서 "이런 것을 걱정하는 초선들의 마음을 '반란', '몇몇 소수의견'이라고 하고 이렇게 강행하는 것을…"이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에 이 원내대표는 "강행이 아니다. 저는 강행했거나 강요했거나 심지어 설득하려 하지 않았다. 저도 할 얘기가 많지만 절제된 처신, 절제된 말씀이 집권여당으로서 입장이 아닐까 말씀 드린다"고 언급, 긴장된 분위기가 연출됐다.

조명철 의원도 "대통령이 행사하는 인사가 만사가 되기 위해서는 소통해야 되는데 그게 잘 안보이는 듯하다"면서 우회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