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유하 교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16일 오전 서울 광진구 동부지방검찰청 민원실 앞에서 '제국의 위안부' 책을 들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소송대리인들은 책을 쓴 박유하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교수와 출판사에 대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연합뉴스 |
박유하 교수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인들 중 소모보다는 사과하고 끝내라는 이도 있었다"면서 "하지만 잘못한 것이 없는데 사과하는 건 옳지도 않거니와 저 자신을 부정하는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는 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박유하 교수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소송 제기 사실을 지난 5월에 이미 나눔의 집 소장에게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언론에 보도된 내용들과 관련해 "책에 썼다고 소송주체들이 말했다는 내용은 대부분 왜곡돼 있다. 이런 식의 왜곡 자체가 저에 대한 '중상'이자 '명예훼손'이라고 생각한다"며 "그 주체가 말한 사람인지 받아 적은 기자인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박유하 교수는 "이번 소송의 주체는 실제로는 나눔의 집 소장으로 여겨지지만 그에게 왜곡된 설명을 들었거나 책의 일부를 봤을 지도 모르는 할머니들의 분노는 이해한다"며 "의도와 다르게 전달됐다 하더라도 아무튼 저로 인해 할머니들이 마음 아프셨다면 죄송하다는 생각도 든다"고 밝혔다.
그는 "문제는 여러 번 써 온 것처럼 '할머니'도 결코 하나가 아니어서 그 중엔 권력화 된 할머니도 계시다는 점"이라며 "아홉 분이 소송주체가 돼 있지만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분은 몇 분 안 되는 걸로 안다. 실제로 어떤 분은 '그런 사람은 나밖에 없다'고 말씀하신 분도 계시다. 그런 의미에서도 착잡한 심경"이라고 말했다.
박유하 교수는 "사실 그동안 지원단체와 언론이 만들어온 '한국의 상식'과 다른 의견을 말했다가 무사한 사람은 없었다. 심지어 대통령도 지원단체의 비판을 받고 자신의 주장을 굽혔다"면서 "지금까지 제가 무사했던 건 제 말이 다른 이들과는 달랐기 때문이라고 확신한다. 그걸 알아봐 주는 이들이 얼마나 있을지, 그에 따라 이 싸움의 결론이 날 거라고 생각한다"고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앞서 16일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는 정복수(98) 할머니 등 9명은 서울동부지검 민원실을 방문해 책 '제국의 위안부' 작가 박유하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고 출판·판매·광고 등을 금지해달라며 가처분 신청을 냈다.
2013년 발행된 '제국의 위안부'에서는 "일본군에 의한 성폭력은 일회성 강간과 납치성(연속성) 성폭력, 관리매춘의 세 종류가 존재했다. (중략) 조선인 위안부의 대부분은 앞에서 본 것처럼 세 번째 경우가 중심이었다" "위안부 피해자는 '일본'이 주체가 된 전쟁에 끌려갔을 뿐 아니라 군이 가는 곳마다 끌려다녀야 했던 노예임에 분명했지만, 동시에 성을 제공해주고 간호해주며 전쟁터로 떠나는 병사를 향해 '살아 돌아오라'고 말했던 동지이기도 했다" 등의 내용이 나온다.
이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은 고향에서 갑자기 일본군에 끌려가 영문도 모르고 성 노예로 착취당했다고 입을 모으며 "박유하 교수의 책은 거짓"이라고 증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