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진행된 6월 임시국회 대정부질문 첫날 여야는 문창극 새 국무총리 후보자를 놓고 날선 설전을 펼쳤다.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문 후보의 식민지배·위안부 발언을 집중 추궁하면서 사퇴를 압박했고, 새누리당 의원들은 온도차를 보였다.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부천오정) 의원은 "문 후보자의 망언이 보도된 이후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한국 식민지 지배는 신의 뜻이다'라는 말이 회자된다고 하니 얼굴이 화끈거려 말하기도 부끄럽다"고 성토했다.

또 "하나님까지 동원해 일본제국주의 논리를 대변하고 옹호하는 사람이 총리가 된다면 이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우다 희생된 선열들이 지하에서 통곡하시지 않겠느냐"고 따졌다.

그러면서 정홍원 국무총리를 상대로 "불통인사의 중심에 김기춘 비서실장이 있다"며 "이임을 앞둔 총리의 마지막 소임이라 생각하고 충심으로 김 실장의 해임을 건의할 생각이 없느냐"고 압박했다.

같은 당 김현 의원은 "위안부 할머니를 모욕하고, 일제의 조선 침탈을 합리화한 문창극씨를 총리 후보자로 추천하는 것은 일본 우익이 주장하는 국가개조론의 일환"이라고 꼬집었다.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도 문 후보자의 총리 자격을 문제삼았다. 이 의원은 "6·25전쟁이 하나님의 뜻이라면 나라를 지키려다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은 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한 나라의 총리로서 대통령을 보좌해 국정 수행을 해야 하는데 그런 사관으로 모든 것을 볼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같은 당 김도읍 의원은 "문 후보자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 문제 제기가 있지만 법에 보장된 절차와 과정속에서 철저하게 규명하고, 판단은 국민들이 하면 된다"고 말했다.

또 "야당이 임명동의안을 제출도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법을 무시하고, 국회의 책무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