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이 재원 확보와 사업성 향상을 통해 본궤도에 오를지 주목된다. 재원 확보에 실패할 경우, 사업 추진이 지연될 것으로 우려된다.

인천시·인천도시공사와 LH는 검단신도시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유지와 지장물 보상은 84~94% 완료됐으며, 현재 벌목공사와 문화재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업 절차상 내년 하반기에는 단지조성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인천시는 내다보고 있다.

내년 하반기 단지조성공사 착공 여부는 인천도시공사에 달려 있다.

인천도시공사는 내년에 2천400억원, 2016년 1천600억원, 2017년 1천억원을 검단신도시 개발에 써야 한다. 공사채 발행을 통해 사업비를 마련해야 하는데, 부채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공사채 발행이 어렵다.

일단 인천도시공사는 325%(4월 말 기준)의 부채 비율을 올 연말까지 320%로 감축해야 한다. 인천도시공사가 부채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검단신도시 개발이 지연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시는 공사채 발행이 어려울 상황에 대비해 내년 상반기 택지 분양을 통해 투입 자금을 조기에 회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인천시는 '인천 1호선 검단신도시(중앙대 인천캠퍼스) 연장선' 사업비를 마련해야 한다.

인천시는 검단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중 하나로 1호선 연장을 제시했고, LH는 BRT(간선급행버스)를 내세웠다. 두 기관은 국토교통부 중재로, 1호선을 연장하는 대신 사업비를 분담하기로 합의했다. 1호선 연장을 위해 인천시가 부담해야 할 돈은 2천440억원이다.

시 관계자는 "도로부문 예산 절감액을 1호선 연장에 쓸 수 있도록 (관련 부서와)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부족 비용은 검단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득세, 중앙대 인천캠퍼스내 시유지 매각 대금 등을 활용할 생각"이라고 했다.

검단신도시에 중앙대 인천캠퍼스를 조성하는 사업도 '사업성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하반기 61개 건설업체에 SPC(특수목적법인) 참여 의향을 물었는데, 대다수가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동산 경기 침체 탓이다.

인천시는 사업성 확보를 위해 대학 용지 가격을 3.3㎡당 149만원에서 307만원으로 현실화하고, 캠퍼스 건립 지원금을 2천억원에서 1천억원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하지만 중앙대가 인천시의 방안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목동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