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정에 대한 여·야의 주사위가 던져진 만큼, 연정이 연착하느냐가 남 당선자의 임기 초 과제가 될 전망이다. 남 당선자가 품은 연정의 뜻은 하루아침에 나온 것은 아니다.
고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시절 제안해 논란이 됐던 '대연정'에 대해서도 남 당선자는 당시 당론과 달리 검토 필요성이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특히 국회의원 시절에는 권력 분산을 강조하며, 분권형 대통령제라든지 4년 중임제를 주장하기도 했다. 국회내에서도 포럼을 통해 이번 연정의 모델이 된 독일 정치를 공부해 왔다.
이후 경기도지사에 당선된 후 자신의 정치철학인 권력분산 실현을 위한 도전에 나선 것이다. 야당도 이에 화답하면서 경기도 정치권이 연정 분위기로 한껏 고조된 모습이다.
연정은 당선자의 철학뿐만 아니라, 경기도 현 정치 상황에서도 기술적으로 필요한 부분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여·야 대립은 경기도 정치에서도 꾸준히 존재했다. 현 8대 도의회도 무상급식 등 각종 현안을 놓고, 여·야가 볼썽사나운 싸움을 수차례 연출했다.
집행부와 의회간 불협화음으로 각종 조례가 부동의된 사례도 여럿 있었다. 이번 선거에서 남 당선자는 0.8%포인트차의 신승을 했고, 도의회는 여소야대로 꾸려져 혼자 힘으로 도정을 이끌어 가기엔 역부족인 상태다.
이에 보육 등 정책적 목표에서 공감하는 부분을 공동정책으로 수용하며, 자신이 추진하는 정책에 대해서도 협조를 구하는 전략도 준비된 것이다.
다만 연정의 연착을 위해서 남 당선자는 내부의 반발을 추슬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미 당내에서는 연정은 '이미지 정치'라며 폄훼하는 여론이 일고 있다.
특히 생활임금조례의 경우 현 여당 기조와 괴리가 있는 대표적 정책이다. 열악한 임금을 받는 근로자의 경우 최저 임금보다 나은 생활환경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으로 기대감이 높은 반면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을 늘릴 수 있다며 경계의 시선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야당의 적극적 협조도 필요하다. 서로간 괴리가 큰 정책 등에 대한 일방적 수용을 강요할 경우, 어렵게 시작된 연정 논의는 불시착할 수도 있다.
경기대 김택환 교수는 "연정 자체보다, 연정의 내용이 더 중요하다"며 "연정 주체간에 양보하는 모습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