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993년 8월 4일 오후 일본 총리관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장관. /도쿄 교도=연합뉴스 |
일본의 발표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의 본질이 훼손될 경우 한일 관계가 뿌리채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 참배로 한일관계가 악화될 대로 악화된 상태에서 일본이 고노담화까지 건드리면 내년에 국교 정상화 50년을 맞는 한일관계의 미래는 그야말로 '시계 제로'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차원에서 정부 내에서도 일본이 고노담화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못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 정부 소식통은 "고노담화는 아베 총리도 계승하겠다고 공식 발표한 사항인데다 국제적인 여론을 볼 때 고노담화의 내용을 뒤집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일본이 어떤 식으로든 작성 경위 등에 대한 이유로 고노담화의 의미를 퇴색시킬 가능성은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
▲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 검증 결과 발표를 하루 앞둔 19일 벳쇼 고로 주한 일본대사(가운데)가 평통사 주최로 대사관 앞에서 열린 아베 정권 규탄 기자회견 때 정문 대신 민원인 출입문을 통해 이동하고 있다. 이날 평통사 회원들은 항의서한을 전달하려다 이를 막는 경찰과 충돌, 항의표시로 대사관을 향해 계란과 고무신 등을 던졌다. /연합뉴 |
정부는 일본의 도발 강도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이 고노담화가 사실상 무력화됐다고 판단될 정도로 담화의 의미를 훼손할 때는 강력 대응할 방침이다.
일본의 검증결과가 발표되면 내용에 따라 우리 정부의 입장 발표, 주한 일본대사 초치 등의 대응이 우선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5일 일본이 고노담화를 훼손하는 검증 결과를 발표하면 위안부 문제의 진실과 일본의 책임을 입증할 수 있는 국내외의 권위 있는 입장과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시하며 정면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상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의 발표 내용에 맞는 적절한 입장 표명과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