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노(河野)담화 검증팀의 좌장인 다다키 게이이치(但木敬一) 전 검찰총장(왼쪽)이 20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지요다(千代田)구 정부합동청사에서 고노담화 검증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 인물은 가네하라 노부가쓰(兼原信克) 내각관방 부(副)장관보. /도쿄=연합뉴스

여야가 일본 정부의 고노담화 검증 결과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여야가 20일 일본 정부가 군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와 관련 '한일 간 문안 조정이 있었다'는 내용을 포함한 검증 결과를 공개한 것을 두고 "고노담화를 무력화하는 시도"라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를 정치적 협상의 산물로 깎아내리고 그 취지조차 부정하는 몰역사적 행태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며 "아베 내각의 반역사적 행보를 규탄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한일 관계를 비롯해 동아시아와 국제사회의 안정이 위기를 맞는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일본 아베 내각에 있음을 명심하라"며 "정부는 어느 때보다 강력하게 아베 내각의 독선과 반역사적 행보에 엄중히 대처하라"고 촉구했다.

▲ 일본 정부가 20일 공개한 고노담화 검증 결과 보고서. /도쿄=연합뉴스

새정치민주연합 박광온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한일 정부 간 문안조정이 있었다고 말하는 것은 고노담화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일본군대가 관여한 반인륜적 범죄를 용납하겠다는 의도"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식민지 지배와 위안부 동원을 비롯한 가해자의 역사를 부정하는 것은 또 하나의 침략행위라는 점을 인식하라"며 "한국인과 동아시아인, 그리고 세계인이 그러한 행위를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논평에서 "고노담화 재검증은 아베 총리가 역사에 의해 심판받았던 사악한 망령들을 되살리는 일"이라며 "고노담화의 본질을 훼손하는 결과는 세계 평화세력으로부터 철저한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