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장 탈영병 생포 작전 43시간 만에 종료. 동부전선 GOP(일반전초)에서 총기난사 뒤 무장탈영한 임모 병장이 23일 오후 군 병력에 포위된 상태에서 자신의 소총으로 자살을 시도한 뒤 생포됐다. 부상한 임 병장이 강릉 아산병원에 도착, 군 관계자와 의료진에 의해 응급실로 옮겨지고 있다. /연합뉴스

동부전선 GOP(일반전초)에서 총기난사 뒤 무장탈영한 임모 병장이 23일 오후 군 병력에 포위된 상태에서 자신의 소총으로 자살을 시도한 뒤 생포됐다.


무장탈병병 임 병장이 생포됨에 따라 이번 사건은 발생 43시간 만에 종료됐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오후 2시55분께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소재 야산에서 본인의 총기로 자해한 임 병장을 생포해 인근 병원으로 이송했다"고 밝혔다.

임 병장은 자신의 소총으로 왼쪽 가슴 위쪽에서 어깨 사이를 쐈고, 헬기로 강릉아산병원으로 이송됐다. 

생포에 앞서 무장탈영병 임 병장은 고성군 금강산콘도 500m 서쪽에서 군 병력과 대치 중이었다. 

임 병장을 포위한 상태에서 밤샘 대치를 이어간 군 병력은 이날 오전 7시께부터 포위망을 좁히며 임 병장 생포 작전에 돌입했다.

김 대변인은 "군 수색병력은 오늘 아침 8시20분께부터 임 병장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투항을 권고했다"며 "이 과정에서 임 병장이 부모와 전화통화를 원해 현장 작전부대 지휘관이 비무장으로 다가가 휴대전화를 건넸다"고 전했다.

▲ 무장 탈영병 생포 작전 43시간 만에 종료. 23일 오후 동부전선 GOP(일반전초) 총기난사 사건으로 숨진 장병들을 위한 경기도 성남 국군수도병원 합동분향소에서 조문 온 군 장병들이 고인에게 경례하고 있다. /하태황기자
 
임 병장은 이 휴대전화로 오전 8시40분께 부친과 통화를 했고, 포위망 밖에서 대기하던 임 병장의 아버지와 어머니, 형은 오전 11시25분께 대치 현장에 도착했다.

군 관계자는 "아버지와 형이 임 병장과 7∼8m 떨어진 거리에서 투항을 권유했다"며 "임 병장이 '나가면 사형당하는 것 아니냐'고 물은 것으로 봐서는 뒷일을 걱정하는 것 같았다"고 덧붙였다.

군 당국도 빵과 물, 전투식량 등을 제공하면서 "말 못할 사연이 있으면 나와서 말해라. 다 해결된다"는 등의 말을 건네며 임병장의 투항을 권유했다.
 
이 관계자는 "특공연대 부대원들도 비무장으로 임 병장에게 접근해 투항을 유도했다"며 "임 병장은 자살시도 20∼30분 전 종이와 펜을 달라고 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임 병장이 자살시도 전 자신의 심경이나 사건 경위 등을 담은 글을 작성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임 병장은 지난 21일 주간 경계근무를 마치고 GOP 소초로 복귀하다가 오후 8시15분께 동료 장병에게 수류탄을 던지고 실탄을 난사한 뒤 무장탈영했다. 

이 사건으로 장병 5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했다. 또 임 병장과 대치하던 과정에서 임 병장의 총격으로 장교 1명이 부상했고, 아군끼리의 오인 사격으로 1명이 총상을 입었다.

김민석 대변인은 "임 병장이 소지하고 있던 K-2 소총과 실탄은 모두 즉시 회수했다"며 "임 병장의 신병은 군 수사기관으로 인계할 계획이며, 앞으로 이번 범행 동기와 사고경위에 대해 육군 중앙수사단의 조사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군 당국은 임 병장의 신병이 확보됨에 따라 고성지역에 발령됐던 '진돗개 하나'를 이날 오후 3시30분 부로 해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