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조종사 과실'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가 지난해 7월 6일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214편여객기 사고의 주원인이 조종사의 과실(mismanagement)이라고 판단했다.

24일(현지시간) NTSB는 워싱턴DC 본부에서 위원회를 열고 "항공기의 하강 과정에서 있었던 조종사의 과실, 속도에 대한 적절한 관찰 부족, 회항 판단의 지연"을 추정 이유로 가장 먼저 지목했다.

이어 NTSB는 사고의 다른 원인으로 "오토스로틀(자동 엔진출력 조정장치)이나 자동조종장치의 복잡성, 보잉사(社)의 (기술) 문서나 아시아나항공의 조종사 훈련 과정에서 이런 복잡성이 부적절하게 기록된 점"도 지목했다.

하지만 NTSB는 "자동조종장치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조종사간의 비표준적의사소통"과 "시계접근(visual approach)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대한 불충분한 훈련"도 사고의 원인에 포함된다며 조종을 위한 외부 환경보다 조종사의 숙련도를 더 문제삼았다.

크리스토퍼 하트 NTSB 위원장 대행은 위원회를 마치면서 "사고기 조종사들이 훌륭한 기록을 가진 노련한 승무원들이었지만 (항공기의) 자동화 장치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고 전했다.

하트 NTSB 위원장 대행은 회의가 끝나고 나서 한 기자회견에서도 "승무원이 (항공기의) 자동화 장치를 작동하는 환경을 개선하도록 권고했다"면서도 "조종사는 언제나 항공기를 완전하게 통제해야 한다"며 조종사 책임에 무게를 실었다.

기본적으로 이번 사고를 조종사 문제 때문으로 결론 내렸느냐는 질문에 하트 위원장 대행은 "기본적으로 조종사의 책임"이라며 "자동화 장치들이 어떻게 기능하도록 디자인됐는지를 조종사들이 이해했느냐가 문제"라는 견해를 보였다.

그는 또 "조종사들이 자동조종장치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해 7월 6일 발생한 아시아나 214편 착륙 사고로 승객 291명과 승무원 16명 중 승객 3명이 숨졌고 180여 명이 부상당했다.

'아시아나 조종사 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