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오후 인천 송도국제도시 G타워에서 열린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조성사업 시민공청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토론을 지켜보고 있다. /조재현기자
수질보다 퇴적문제 더 심각
상시 점검·선제적 대응해야
사업 재원마련 우려 시각엔
국비·민간투자 긍정적 답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추진하는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사업과 관련, 인근 지역 해양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17일 열린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조성사업 시민공청회'에서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교수는 "워터프런트 조성에 따른 수질, 퇴적, 해수가 돌아가는 것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 오차율이 크기 때문에 예측모델만을 믿어서는 안 되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송도 연안지역은 아시아에서도 손꼽을 만큼 많은 변화가 일어난 지역이라는 것이 우 교수의 설명이다. 시화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퇴적량과 유속 변화, 인천신항 개장에 따른 준설 등이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우 교수는 "수질문제는 1차적으로 순환으로 해결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심한 것은 퇴적이다. 시화조력의 경우도 뻘이 차기 시작하면서 감당이 안 됐다. 준설비용이 막대하게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상시 모니터링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이 같은 모니터링으로 오히려 송도갯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우 교수의 이야기다.

우 교수는 "역발상을 해서 원하는 방식으로 갯벌 퇴적을 유도하면 조류 서식지와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이런 것이 돼야 환경 피해를 일으키지 않는 개발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워터프런트 사업에 들어가는 재원과 관련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최혜자 사무국장은 "인천시와 경제청의 재정난이 심각하다. 경제청이 땅이 안 팔려 송도 6·8공구 기반시설 비용을 기채 발행을 해야 한다고 한다. 이는 시민들의 부담으로 올 수밖에 없다"며 "워터프런트 조성 사업을 많이 한 일본에는 사람이 찾지 않는다. 우리 송도에 이런 불상사가 없도록 좀 더 꼼꼼하고 생각을 많이 해 여러 의견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인천경제청 지창열 개발계획총괄과장은 재원에 대한 우려와 관련해 "공사비를 현금이 아닌 공사비로 주는 대물변제 방식으로 한다. 투입비용이 6천800억원이 들어가는데 워터프런트를 하면서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통해 마련되는 토지 매각 대금은 8천300억원 정도다. 재정상 큰 문제가 없다"며 "인공해변, 마리나 시설 등은 민간투자 방식도 가능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사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 국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경제청 등에 따르면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총사업비는 7천842억원이 들어가고 2016~2018년 6·8공구, 북측수로 수순환을 연계하는 1단계 사업이 추진된다.

/홍현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