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에서 온 세르게이(가명·안산 원일초 6년)군은 월드컵 때 한국팀을 응원했다. 그의 꿈은 한국 국가대표 축구 선수다.

세르게이는 3년 전 한국에 올 때만 해도 꿈도 희망도 없었다. 그러던 그가 원일초 편입학 한 달 만에 달라졌다. 다문화 학생이 많은 원일초는 수업과정을 4개 국어로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직업 소개는 물론 한국문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이때부터 세르게이군의 장래희망은 축구선수가 됐다. 또 체대 진학과 훌륭한 스포츠맨을 목표로 열심히 공부도 하고 있다.

세르게이군은 "처음 한국에 왔을 때만 해도 외국인들은 모두 공장이나 막노동만 하는 줄 알아 꿈도 희망도 가질 수 없었다"며 "하지만 노력하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고 꿈을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교생 중 79명(18%)이 다문화가정 학생인 안산 원일초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에게 자국의 언어로 맞춤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어 수업과 4개 국어로 역사와 수학 교육을 해 좀 더 한국을 잘 이해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가정통신문을 비롯, 교내 평가시험도 4개 국어로 출제하는 등 이들을 배려하고 있다.

최옥환 원일초 교장은 "다문화교육의 기본과 핵심은 아이들이 언어 때문에 불이익을 받지 않고,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이라며 "직업적성교육을 한 이후 많은 다문화아이들이 번역가, 만화가, 축구선수 등 다양한 목표 의식이 생겼다"고 말했다.

전체 학생 가운데 60% 이상이 다문화 학생인 안산 원곡초교도 다문화 학생들에게 많은 배려를 하고 있다. 음식문화가 다른 학생들을 위해 급식시간 때 대체식단까지 마련하는 등 가장 기본부터 세심하게 챙긴다.

이슬람 문화인 파키스탄 등지에서 온 학생들은 돼지고기를, 인도에서 온 학생들은 쇠고기를 금기시하는 관습을 존중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대학생 1천243명을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연계하는 멘토링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대학생들과 이들 학생을 1 대 1로 연결해 학업지도는 물론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이나 대안학교 위탁교육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도내 다문화가정 학생이 10만명을 넘어서면서 이들을 제도권 교육으로 끌어들이는 데 한계가 있다.

결국 정부 차원의 지원과 교사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재교육 등 보다 적극적인 정책과 교육모델이 선행돼야 한다.

/김대현·윤수경·김범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