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20억원을 들여 전국 최초로 자체 제작·배포한 민주시민 교과서(더불어 사는 민주시민)가 일선 학교에서 활용이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도교육청은 일부 내용을 수정·보완해 2015학년용을 제작중이며, 또다시 20억원을 들여 배포할 계획에 있어 예산 낭비 지적이 일고 있다.

28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민주시민 교과서는 지난 2012년부터 2013년 9월까지 1년여간 초등 3·4학년용, 초등 5·6학년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등 총 4종으로 개발했다.

당시 도교육청은 5천여만원을 들여 교육 과정에 수록되지 않은 민주시민 의식을 학생들에게 교육하기 위해 교과서를 제작, 지난해 전국 최초로 도교육감 인정도서로 발간했다.

제작 이후 도교육청은 지난해 말부터 지난 6월까지 일선 학교의 신청을 받아 총 2천182개교(97.9%)에 교과서를 무료로 배포했다. 배포에만 20억원이 넘게 소요됐다.

도교육청은 배포 당시 민주시민 교과서를 사회과목 또는 창체(창의적체험활동)교과와 연계 교과서로 활용하도록 소개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활용 자체를 못하고 있다. 교사들은 앞으로도 민주시민 교과서 활용은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사회과목의 경우 학교급별 선정 교과서가 있기 때문에 학기별 교과서 진도를 진행해야 하는데다, 창체교과도 봉사활동을 비롯, 한자쓰기, 운동 등 학교 또는 교사별 교육과정이 짜여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민주시민 교과서는 주제에 대해 학생들간 토론형식의 수업방식을 지향하도록 제작, 교사들은 교육일정상 연계교과서로 활용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가운데 도교육청은 현재 2015년용 민주시민 교과서의 수정·보완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연말께부터 20여억원을 추가로 들여 일선 학교에 배포할 예정이다.

수원지역의 한 학교 교사는 "책의 내용이 좋고, 나쁨을 떠나 굳이 교과서로까지 만들어 교육을 해야 하는 새로운 내용들이 수록돼 있진 않은것 같다"며 "특히 책의 분량이 일반 교과서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많아 참고서로 활용하기도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올해 교과서가 다소 늦게 배포돼 일선 학교에서 선택과목 선정 등을 하지 못해 활용도가 낮은 것은 사실"이라며 "관련 교사 연수와 우수사례 소개 등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어 내년부터는 활용을 많이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현·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