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재·보궐선거는 15곳이라는 역대 최다의 선거구에서 치러진다는 의미 외에도 전국에 고루 걸쳐있다는 점에서 민심의 향배를 가늠하는 정치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승패를 가리지 못한 여야가 어떠한 성적을 받아드느냐에 따라 향후 정국의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선거기간중의 세월호 100일, 유병언의 시신 발견에 따른 검경의 갈등 등 수사기관에 대한 불신, 야당의 이해할 수 없는 전략공천과 이른바 나눠먹기식의 단일화로 비판받은 야권연대 등 이슈에 따라 표심의 향배가 갈릴 것이다.
그러나 역대 선거들이 그랬듯이 이번 재·보선도 선거의 본질은 뒷전으로 밀려나 있다. 정책이나 공약은 표피적인데 그치고 선거초반부터 여야의 전략적 공천으로 빛을 바랬다. 특히 야당의 무리한 전략공천에 따른 여야의 샅바싸움에 선거쟁점이 가려진데다, 유병언 시신 발견과 유대균 검거에 대한 관심이 선거에 대한 주목도를 더욱 떨어뜨렸다. 여야의 전략공천도 유권자의 표심에 의해 심판받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5일과 26일의 사전투표율은 선거인 288만455명 가운데 22만9천986명이 참여하여 7.98%의 투표율을 기록함으로써 제도 시행 이후 치러진 재보선 가운데 최고를 기록했다. 대개 봄·가을 재보선과 달리 휴가철이라 사전투표율이 5%대 정도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는 것이 일반적 예상이었다. 물론 전국단위 선거인 지난 6·4지방선거의 11.49%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일부 접전지의 경우 10%를 넘어서는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이번 재보선의 승부처인 수도권 6곳 중에 5곳이 경기도에서 치러진다. 사전투표율을 보면 수원을(권선)이 6.13%, 수원병(팔달) 7.35%, 수원정(영통) 8.34%, 평택을 5.75%, 김포 9.69%로 전체 평균보다 낮다. 사전투표율이 높다고 해서 전체투표율의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확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경기도가 이번 재보선 민심의 바로미터로 인식되고 있고 최대의 승부처라는 점에 비추어볼 때 저조한 것만은 사실이다. 물론 저조한 사전투표율이 최종투표율의 저조로 연결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선거는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선거가 모든 것을 바꿀 수는 없으나 변화의 단초를 제공할 수는 있다. 선거기간 중의 여러 쟁점과 현안에 대한 국민의 심판의 엄중함을 투표 참여로 보여주어야 한다.
투표참여로 유권자의 집단지성 보여줘야
입력 2014-07-29 02:1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07-29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