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0 재보궐 선거의 후폭풍으로 세월호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청문회와 특별법 제정이 표류될 위기에 놓였다.

새누리당은 재보선에서 압승을 이뤄내 야당에 휘둘려선 안 된다는 강경론을 내세우는 반면, 거센 후폭풍에 휘말린 새정치민주연합은 여당을 압박할 동력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협상 결렬로 이달 초 청문회 개최가 사실상 무산된 상황에서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여야 간사는 3일 청문회 증인 문제를 놓고 추가 논의를 진행하지 않았다.

지난 1일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 정호성 제1부속실 비서관, 유정복 인천시장(전 안전행정부 장관)의 청문회 출석 문제를 놓고 여야간 평행선을 달리며 마무리돼 사실상 접촉이 끊긴 상태다.

여야는 일단 협상은 계속한다는 방침이지만, 새누리당은 야당의 요구에 대해 정치공세에 불과해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이며, 새정치연합 역시 반드시 출석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새누리당은 일단 증인 협상만 마무리되면 청문회 일정은 다시 정해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한다는 방침이지만, 새정치연합은 본회의를 거치지 않고 여야 합의로 청문회 일정을 잡아도 무방하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여야의 세월호특별법 협상은 재보선을 기점으로 아예 중단됐다.

새누리당에선 재보선을 전후로 상황이 바뀐 만큼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지난 1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도 "이번 재보선에서 확인된 민심은 야당의 무리한 요구에 끌려다니지 말라는 것"이라며 세월호특별법 협상에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새정치연합은 교착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세월호 정국을 풀기 위해선 결국 여야 원내대표의 결단이 불가피하다며 새누리당의 양보를 거듭 촉구했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7·30 재보궐 선거 전보다 후퇴한 여당의 태도에 갑갑할 따름"이라며 "선거에서 이긴 여당이 통 크게 양보하고 대화의 정치를 복원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