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흥화력 6호기 전경. |
|
오염 우려 석탄 사용 놓고
부처 이견·환경단체 반발
수도권 전기자립도 63%그쳐
무산땐 정부 수급계획 '차질'
인천의 한 외딴 섬인 영흥도. 이 섬에 화력발전소 7·8호기를 증설하는 문제를 놓고 인천이 떠들썩했다. 석탄 연료 사용을 둘러싸고 정부 부처간 이견과 환경단체의 반발, 여기에 인천시까지 제동을 걸면서 일이 커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도권 전력난 해소를 위해 2013년 2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7·8호기 증설을 반영했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이미 착공에 들어갔어야 하지만 1년 넘게 사업 진행이 안 되고 있다.
경인일보는 총 3차례에 걸쳐 영흥화력 7·8호기 증설을 둘러싼 갈등과 향후 과제 등을 담아본다.
편집자 주
영흥화력 7·8호기 증설이 미뤄지면서 백지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는 정부의 중장기 수도권 전력 수급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얘기다.
만약 유례없는 폭염이나 한파 등의 이상기온으로 전력 사용이 급증하거나 원전을 비롯한 일부 대용량 발전소들이 고장으로 멈춰서기라도 한다면, 그 사회적 혼란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물론 인천 입장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영흥화력에 또다시 석탄 발전소를 짓는 데 대해 선뜻 받아들일 수 없다. 이 때문에 영흥화력 7·8호기 증설 문제를 푸는 실마리는 인천시가 쥐고 있는 셈이다.
영흥도에서는 우리나라 인구 절반이 사는 수도권 전력 수요의 약 25%를 공급하고 있다. 시화방조제를 거쳐 대부도와 선재도를 지나 다리를 하나 더 건너야 도착할 수 있는 영흥도.
이 섬에 자리잡은 한국남동발전(주) 영흥화력본부는 최근 영흥화력 5호기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본격적인 전력 생산에 들어갔다. 또 6호기도 연내 가동에 앞서 종합 시운전을 시작했다.
이제 영흥화력은 2004년 11월 1·2호기 준공을 시작으로 5·6호기까지 총 5천80㎿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게 됐다. 일반 가정으로 치면, 수도권 내 152만 가구(현재 인천 거주 약 112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력 생산기지가 된 셈이다.
그 덕에 인천의 외딴 섬이던 영흥도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다. 영흥화력이 건설되면서 영흥도~선재도~대부도를 잇는 다리가 놓였다. 지역 경제에 영흥화력이 차지하는 비중도 크다.
5·6호기 건설 때 소위 함바집이나 전용 숙소 대신 동네 식당과 원룸 등을 이용하던 하루 3천여명에 달하는 건설 근로자들이 빠져나가면서 지역 경기권 휘청거릴 정도다.
식당 주인인 이모(47)씨는 "5·6호기 증설이 마무리된 후 매출이 30% 이상 줄어든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이상기온이나 대형 발전기 고장 등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해 정해 놓은 최소 설비 예비율(15%) 기준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특히 수도권이 문제다. 국내 전력의 대부분을 소비하면서도 발전시설이 부족해 지방에서 전기를 끌어다 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통계연보(2012년)를 보면 수도권은 연간 전력 소비량이 17만178GWh인데 비해 생산량은 10만6천915GWh에 그쳐 평균 전력 자립률이 63%에 불과하다.
2012년 12월에는 이례적인 한파로 전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서울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일대가 정전되고 교보빌딩 등 인근 4개 건물에 전기 공급이 45분가량 끊기는 최악의 사태를 빚은 적도 있었다.
한국남동발전 관계자는 "발전 설비 고장이나 정비 등으로 실제 공급이 가능한 예비 전력이 1천㎿ 미만으로 떨어질 때는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 임의적으로 일부 전력을 끊을 수밖에 없는 상황까지 발생한다"며 "수도권이 전력 수급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고 말했다.
/임승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