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육프로그램의 기획에서부터 집행까지 주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자치협의회'를 만들기로 했다.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4일 취임 한 달을 맞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교육자치와 행정자치라는 큰 틀에서 지방자치를 바라볼 때 교육감이 행정을 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 때 집행 단계에 주민참여가 필요한 만큼 주민참여 거버넌스(governance)를 만들 생각"이라고 밝혔다.

교육자치협의회는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행정 집행에 대한 심의 기구로 이 교육감은 도교육청뿐 아니라 25개 교육지원청별로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주민이 모두 참여하는 기구로서의 교육자치협의회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2011년 제정한 조례를 근거로 이미 교육자치협의회가 존재하고 있었지만, 이 교육감은 해당 협의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했다.

기존 교육자치협의회는 공모와 추천으로 지난해 7월 5개 분과 106명 위원으로 구성됐으나 '교육감의 자문과 협의' 기능에 머물렀다.

이에따라 이 교육감은 "지금 교육자치협의회가 잘 운영되는 것 같지 않다"며 "이름은 그대로 두더라도 원칙과 과제 운영방법을 좀 더 합리적으로 바꿔야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교육자치협의회는 기존 조례가 수정되고 의회 통과 수순을 거쳐 늦어도 9월 중에 출범할 예정이다.

이 교육감은 "지자체별 시장·군수뿐 아니라 도의원·국회의원 등 다들 교육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고 놀랍다"며 "교육감 거버넌스가 아니라 지역별로 거버넌스를 만들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자리에서 이 교육감은 전교조 미복귀 전임자 문제에 관해 법외노조지만 교원단체로서 업무를 유지할 최소 인력이 필요한 점, 전임자를 대신해 채용한 기간제 교사들의 채용 기간이 연말까지인 점, 아직 법적 다툼의 여지가 있어 직접 소명할 기회를 줘야한다는 점 등을 들어 당분간 징계 의사가 없음을 밝히기도 했다.

/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