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직업훈련이나 직업 전 교육 못지않게 취업 이후 이직률을 줄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농아인협회 이정자 사무처장은 18일 인천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주최로 종합문예회관에서 열린 '장애우 고용 및 직업재활대책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처장은 장애유형이나 장애정도에 맞는 직업훈련이나 직종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장애인이라 해도 직업 및 동향 정보를 받고 의사소통으로 인한 갈등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장기근속을 지원(이직률 안정)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보지원센터와 사회교육 직업 전 소양교육, 직장적응 대인관계 및 자아계발 프로그램을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사업과 장애인이 직접 전문가 그룹에 참여하도록 하는 시스템 개발도 시급하다는 게 이 처장의 설명이다.
이 처장은 “현재 장애인 직업재활의 재정은 기업주의 장애인 미채용 벌과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국고보조금을 적극 활용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