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얼마 전까지 애물단지 취급을 받던 중대형 평형이 부동산 훈풍에 힘입어 오히려 메리트를 갖게 됐으니 격세지감이란 말이 실감나는 대목이다. 이러한 부동산시장 분위기 속에 바빠진 건 건설사뿐만이 아니다. 실수요자를 비롯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큰손들도 광주지역에 눈을 돌리며 몰려들고 있다. A사 아파트는 지난달 분양 당시 수십 개의 떴다방이 등장해 광주에 쏠린 관심을 단편적으로 입증하기도 했다.
그러나 들썩이는 시장 분위기와 달리 행정당국인 광주시는 조용하다. 훈풍에 돛을 달기보다 경계만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역세권개발에 전력투구하겠다며 공언했지만 이렇다 할 개발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부동산 활성화 분위기에 맞춰 사업을 추진하려는 사업자들은 '시가 좀 더 역동적으로 나서 주기를 바라지만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다'며 입을 모은다.
광주시 오포읍은 '제2의 분당'으로 불린다. 실제 분당과 가까워 분당권 생활이 가능하고 일부 지역은 학군까지 분당권에 속한다. 부동산 시세는 분당의 절반 내지 3분의 2 수준이지만 분당권 생활이 가능해 수요가 몰리고 있다. 하지만 이런 수요를 충당할 공동주택 공급은 부족하다. 공동주택사업에 장벽이 높다 보니 다세대주택만 즐비한 실정이다.
최근 이곳에서 공동주택사업을 하려던 한 건설사는 타 비도시지역보다 낮은 용적률 적용을 받는 데 대해 형평성 논란을 제기하기도 했다. 부동산 수요가 많은 지역이고, 사업성을 맞추기 위해선 용적률 상향이 필요하지만 교통여건 등을 이유로 도시계획심의위원회에 상정조차 안 되자 너무하다며 민원을 제기하고 나섰다.
난개발은 막아야 한다. 하지만 무조건적인 제한만이 능사가 아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도 광주지역에 분 훈풍을 경계할 것이 아니라 이용해야 한다. 정부의 규제개혁 기조에 발맞춰 광주시가 큰 밑그림을 그려 나가길 시민들은 바라고 있다.
/이윤희 지역사회부(광주)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