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일선 학교들이 9시 등교 대책으로 도서관 조기 개방을 지시하자 비정규직 사서교사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들은 1일 도교육청 앞 기자회견을 통해 학교 행사 동원, 학생지도 감독 등 업무와 관련없는 일을 떠안기는 것도 모자라 근로계약 변경도 없이 근무시간까지 연장시켰다며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에 따르면 도내 학교의 비정규직 사서교사는 1천500여명으로 전체 사서교사 중 75~80%를 차지한다. 이들은 대부분 도교육청과 직접 계약을 맺고 일하는 비정규직 교사들이다.

지난 9월 도내 각 학교들이 9시 등교제를 실시하면서 일찍 자녀를 등교시켜야 하는 맞벌이 부모들의 반발이 커지자 도교육청은 지침을 통해 '도서관 조기 개방'을 대안으로 제시했고 일선 학교들은 사서교사들에게 평소보다 일찍 도서관을 열라고 지시했다.

경기지부 김수영 사무처장은 "도교육청 지침도 문제지만, 이재정 교육감이 인터뷰를 통해 도서관 조기 개방을 언급하면서 일선 학교들이 일제히 1시간씩 일찍 개방하게 했다"며 "근로계약상 근로시간을 마음대로 바꾸지 못하는 것은 상식인데, 교사들과 한마디 상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지시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이들 교사들은 사서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잡다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도내 한 중학교의 A교사는 얼마 전 학교에서 열린 학부모회의의 행사보조로 동원돼 참석자들의 신발을 정리하는 수모(?)까지 당했고, 교사수가 적은 한 초등학교에 근무중인 B교사는 학교 게시판에 걸어야 하는 '이달의 행사' 게시물을 제작하고 있다.

김 사무처장은 "고유 업무가 아닌 잡무에 시달리고 있고 학생들을 위해 무조건 봉사하라는 도교육청과 학교의 태도를 이해할 수 없다"며 "교육청은 고유 업무를 보장하고 직무연수를 실시하라"고 주장했다.

/김대현·공지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