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경일 해경 123정장이 1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등에 대한 국정 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 정장 앞으로 증인으로 출석한 세월호 선원들이 질의 문답 내용을 듣고 있다. 이날 국감엔 현재 수감 중인 강원식 1등 항해사, 김영호 2등 항해사, 신정훈 견습 1등 항해사, 김형준 진도 VTS 센터장 등이 교도관들과 함께 출석했다. /연합뉴스 |
김 씨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수산부·해양경찰청 등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밝히면서 "저희가 본 인원은 다 구조했고, 보지 못해서 구조를 못 했다"고 강조했다.
김 씨의 증언에 국감을 방청하던 세월호 유가족들은 "구하긴 뭘 다 구했냐"며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그러나 김 씨는 "당시 상황에서는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라앉는 세월호 선박 창문으로 안에서 피해자 수십명이 내다보고 있었다. 그걸 깨기만 했어도 내다보는 학생들 수십명은 구할 수 있었다"라고 아쉬워했다.
선내에 진입해 구조활동을 하지 못한 것과 관련, '자녀가 배 안에 있었다면 어떻게 했겠느냐'는 새누리당 김종태 의원의 질의에 김씨는 "저희는 안전만 확보됐으면 들어갔지만 당시 안전이 확보되지 않아 못 들어갔다. 일본이나 미국은 50도 이상 기울어지면 진입이 불가능한 것으로 안다"라고 항변했다.
승객들의 탈출을 유도하는 방송을 하라는 목포해경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 데 대해선 "경황이 없어서 방송 부분을 놓친 것 같다"고 인정했다.
김씨는 또 세월호를 향해 출동하던 과정에서 "당시 세월호와 비상주파수로 통신을 시도했는데 안 됐다. 세월호는 68번(진도 VTS) 주파수로 했고, 저희는 16번(비상채널)으로 했다"라며 "목포해경 상황실과도 통신이 잘 안돼 전화를 썼다"고 전해 당시 무선 연락체계에 문제가 있었음을 시사했다.
이날 증인으로 함께 출석한 세월호 1등항해사인 강원식씨는 사고 원인과 관련해 "(저희들이) 미숙해서 그런 것 같다"면서도 "정확히 항해가 잘못됐다고 꼬집어 말하긴 그렇다"고 말했다.
강씨는 '가족이 갇혀있다면 혼자 나왔겠느냐'는 김종태 의원의 질의에도 "사고 상황과 지금하고는 차이가 많다. 그런 생각은 해보지 않았다"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