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대곡~부천 소사간 복선전철 사업이 6년여 만에 결실을 보게 된 데는 지역현안에는 여야가 따로 없음을 몸으로 보여준 부천·고양지역 국회의원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컸다.

이 사업은 29일 마침표를 찍기까지 두 차례 큰 고비를 넘어야 했다. 첫 번째는 기획재정부가 총사업비의 25%를 지자체가 부담해야 하는 광역철도로 구분한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재정난에 허덕이는 서울시·경기도 및 부천시·고양시로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사안이었다.

이 때문에 이 사업은 2009년 국토교통부가 민간투자사업(BTL)으로 고시한 이후 5년여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갈등만 키웠다.

그러다가 지난해 새정치민주연합 원혜영(부천오정) 의원 등의 주도하에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일반철도로 하되 지자체에서 10%를 부담하는 절충안을 만들어 통과시키면서 1차 관문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번에는 지자체간 '10%를 어떻게 나눌 것인가'라는 예산 분담이 문제가 됐다. 특히 서울시가 예산을 한 푼도 배정하기 어렵다며 완강한 입장을 보였다.

대곡~소사선이 김포공항을 거쳐가는 것 외에는 서울시와 별 상관이 없는 데다, 건설 40년이 넘은 지하철 1·4호선에 대한 재투자가 더욱 시급한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또다시 지역 여야 의원들이 팔을 걷고 나섰다. 새누리당 김태원(고양덕양을) 의원은 경기도 설득을 전담했고, 새정치연합 원혜영·김현미(고양일산서)·유은혜(고양일산동) 의원 등은 서울시를 마크했다.

원·김 의원 등은 지난 1월 말 박원순 서울시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 사업은 단지 경기도를 위한 것이 아니다. 서울의 교통, 환경문제와도 직결돼 있는 사안이다"며 재고를 요구했다. 박 시장은 이에 "교통, 환경 관련 이야기는 처음 들어본다"며 재검토를 지시했고, 최종 분담금 합의로 이어졌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재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 '대곡~소사 복선전철 본격 추진을 위한 국회·정부·지방자치단체 합동 간담회'에서 덕담을 나누고 서로를 격려하며 그동안의 고생을 씻어냈다.

김현미 의원은 "정치권이 관계자들을 수십 차례 만나 조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 선례를 만들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대화와 타협을 통해 작게는 경기 서부권 시민, 크게는 국민을 위해 올바르고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해냈다는 데서 보람을 찾는다"고 말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