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자동차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온실가스)가 전체 배출량의
14%를 차지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립환경연구원 자동차공해연구소는 온실가스 저감대책의 기초자료를 확보
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00년말 기
준으로 연간 6천700만t을 배출, 전체 4억9천400만t의 14%를 차지했다고 10
일 밝혔다.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비중은 에너지가 82.4%, 산업공정 10.6%, 폐기물 4%,
농축산 3% 등이며 산림은 -7%로 전체 배출량의 7%를 흡수한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산업이 28.9%로 가장 많고 다음은 발전 23.5%, 수송
16.4%, 가정상업 12%, 기타 0.8% 등이며 이때 수송은 자동차를 비롯해 선박
과 철도, 항공 등을 포함하는 수치다.
그동안 자동차의 온실가스 조사는 주로 IPCC(정부간 기후변화협정) 계수 등
을 이용하는 간접적인 측정으로 이뤄졌으나 이번에는 자동차의 운행여건과
속도, 기종 등 다양한 변수를 감안한 실측방법을 적용했다고 연구원은 설명
했다.
환경부는 지난해 11월 기후변화협약 제7차 당사국 총회에서 교토의정서 이
행규칙이 합의된 이후 지금까지 유럽연합과 일본 등 74개국이 비준을 완료
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규정한 교토의정서가 연내 발효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교토의정서는 유럽연합을 포함한 39개 선진국에 대해 2008년부터 2012년 사
이 1990년 발생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평균 5.2%의 감축의무를 부과하는
것. 우리나라의 경우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더라도 당장은 감축의무가 없으
나 한국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이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세계
10위권이라는 점에서 갈수록 감축압력이 거세질 것으로 환경부는 보고 있
다.
연구원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이번 조사는 수송이나 자동차 부문의 온실가스 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연합>
자동차가 전체 온실가스의 14% 배출
입력 2002-07-10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07-10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