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사고를 계기로 경기도교육청이 '안전지원국'을 신설, 안전교육을 대폭 개선하는 '학교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지만 오히려 일선학교에서는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8일 도교육청은 각종 재난 상황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관리체계와 정책을 전면 개선한 '학교안전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도교육청은 종합계획 수립에 앞서 지난 7~8월 도교육청 실무자들과 재난대응 전문가, 교수, 교사, 학부모 등이 참여한 '경기도 학교안전 종합계획 TF(태스크포스)'팀을 운영해 정책개발에 나섰다. 이 같은 안전정책 및 학교안전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하는 데만 7천400여만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하지만 이날 발표한 종합계획과 실제 TF팀의 정책보고서 내용에 큰 차이가 있다.

TF팀 보고서는 현직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체험훈련을 할 수 있는 시설이나 교육기자재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반영해 '체험중심의 훈련시설 및 자료 확충'을 1순위 과제로 꼽았다.

그 개선방안으로 교육지원청별 안전교육 거점학교 조직을 운영하거나, 폐교 등을 활용한 안전교육 연수기관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지만, 실제 종합계획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또한 TF팀은 현재 안전행정부에서 진행하는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 외에도 교육청 차원의 체험위주 안전교육 연수를 별도로 개설, 이론과 실습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요구했지만, 종합계획에는 구체적인 교육일정도 제시하지 않고 매뉴얼 배포 후 학교 재량에 맡기거나 대피훈련만 4회 실시하도록 했다.

결국 재난안전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도 없이 체험형 안전교육과 관련해 43억원의 예산만 반영된 상태다.

TF팀에 참여했던 전문가는 "TF팀에서 정한 우선순위도 고려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계획이 수립됐다. 설문조사에서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한 부분들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이 전혀 제시되지 않았다"며 "이 상태라면 일선학교는 혼란에 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TF팀 운영결과 보고서를 바탕으로 계획을 수립했고, 향후 계속해서 보고서의 제안들을 반영해 나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대현·공지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