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이기주의라면 '님비(Not In my Back Yard)'현상, 즉 공해 유발 또는 혐오시설 등이 자기네 동네에 들어오는 걸 막는 집단 행위부터 연상하지만 '집단 이기주의'라면 뭐부터 연상할까. 멀리 갈 것도 없다. 비근한 예가 바로 공무원연금 개혁에 한사코 반대하는 공무원 아닌가. 속칭 '철 밥통' 직업인 그들 집단 이기주의 발로(發露)야말로 볼썽사납고 추악하기 그지없다. 10만여 공무원의 위협적인 여의도 반대 집회도 그렇고 99%가 반대한 찬반투표도 추악하고 소름끼치는 대형 공포조성 쇼가 아닐 수 없다. 일반 국민연금 수령자 등 남이야 상대적 박탈감을 뼛속까지 통감하든 말든, 차후 나라 재정이야 거덜 나 자기네 후진들이 빚더미에 깔리든 말든 '나만 좋으면 그만'이라는 거 아닌가. 더구나 야당이 반대, 연내 개혁이 어렵단다. 공무원 표가 그리도 걸리는가. 알파~오메가 반대만 하는 야당, 인기영합 무상 복지 시리즈에나 눈 먼 정치꾼이라니!

공무원이라면 아직도 무사태평, 무사안일, 복지부동, 뇌물 비리, 좌고우면 눈치 보기 등 선입견이 곱지 못하다. 요즘 대민 봉사 폼이 그럴싸하게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관공서라면 거부감이 앞선다. 번문욕례(繁文縟禮)와 까다로운 절차로 어떻게 하면 더 안 되는 쪽으로 민원인을 골탕 먹일까에만 이골이 난 듯싶기 때문이다. 옛날 신하에도 성신(聖臣) 양신(良臣) 충신(忠臣) 지신(智臣) 정신(貞臣) 직신(直臣) 등 나라에 이로운 여섯 바른 신하(六正)가 있었는가 하면 사신(邪臣) 간신(奸臣) 적신(賊臣) 망국신(亡國臣) 등 사악한 신하로 '육사(六邪)'라는 게 있었다. 공무원 연금을 그대로 두면 2020년 이후 연간 적자가 7조원이 넘는다는데도 개혁을 반대하는 공무원은 '亡國臣' 아닐까.

국가 부도(不渡)죄로 게이르 하르데(Haarde) 아이슬란드 총리가 법정에 선 건 2011년 9월이었다. 금융위기에 빠진 나라를 방치한 직무유기 죄였다. 지난 8월 아르헨티나의 재정 파탄을 초래한 여성 대통령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Fernandez)도 위험하다. 만약 우리 차기 대통령이 그리 돼도 공무원들은 책임 없다, 양심에 찔리지도 않을 것인가. 신자라면 당장 울며 기도, 양심에 물어 보라.

/오동환 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