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재정난 타개를 위해 수석교사에 이어 일선 학교 교장, 교감까지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도교육청 내부는 물론 교육계 전반에 걸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시행전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 8일 이 교육감은 경기지역 주요 언론사 부장들과의 오찬자리에서 "(성공회대학교) 총장 재직시절, 직접 강의를 하곤 했다. 교사들의 가장 큰 책무는 학생들을 만나는 일"이라며 "경기교육의 재정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만큼, 수석교사뿐 아니라 교장·교감교사들도 직접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육감의 이같은 방침은 최근 도교육청이 내년도 기간제 교사를 대거 감축하고, 진학진로 상담교사와 수석교사 등을 정원내 배치하는 등 재정난 해결을 위한 교원 구조조정의 연장선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도교육청 담당부서를 비롯 교육계 전반에 걸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인력이 부족한 학교에서는 실제로 교장·교감이 수업을 하고 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교장·교감이 수업을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며 "교육감의 발언은 그만큼 경기교육 재정난이 악화됐다는 뜻이며, 교직원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고통 분담을 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로 해석하고 있다"는 설명했다.
특히 수원의 한 고등학교 교장은 "대외관계 등 교장과 교감의 역할이 분명히 있는데 수업을 하기 싫다는 것이 아니라 여력이 안된다"며 "교장·교감뿐 아니라 전체 교사들의 반발에 부딪혀 시행은 불가능할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러한 가운데 도교육청은 이미 내년도 1천300여명의 기간제교사 감축으로 수석교사들과 진학진로상담교사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등 갈등을 겪고 있다.
9일 경기도중등수석교사회는 경기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석교사 선발 시에 분명히 '별도 정원으로 한다'고 명시해 왔고, 수석교사들은 이를 믿고 지원했는데 도교육청은 일방적으로 약속을 파기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그동안 수석교사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시간제 강사 대신, 기간제 교사로 대체했지만 인건비 부담이 너무 커져 어쩔 수 없이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대현·공지영기자
경기교육감 '학교장도 수업하라'
재정난 타개 위해 수석교사 이어 '수업 참여' 밝혀
실무자 "법적근거 없고 여력 부족… 불가능" 반발
입력 2014-12-09 21:2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4-12-10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