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주관의 교복 공동구매로 인해 학생·학부모·업계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경인일보 1월 15일자 1·3면 보도)이 현실로 나타났다. 예비소집일 학교앞은 교복 업체들의 판촉행사장으로 변질됐고, 일부 학생들은 교복을 물려입겠다는 핑계로 교복을 개별구매하는 실정이다.
21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국·공립 중학교는 23일, 고등학교는 다음달 4일이 예비소집일로, 이들 모두 학교가 교복 업체를 선정하는 '교복 학교주관구매' 대상에 속해 학생들은 예비소집일에 맞춰 일괄적으로 교복을 구매해야 한다. 반면 학생들을 빼앗긴 교복업계에서는 같은날 대규모 판촉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말부터 시작된 특성화고 등의 예비소집일, 각 학교 정문 등에서는 '교복 학교주관구매에 참여하지 마세요' 등의 업체 홍보물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업체에서 교복을 사면 사은품을 준다며 학생들을 유혹하기도 했다.
하지만 각 교육청에서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태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허위·과장 광고 등 불법판촉 행위가 있는지 확인하려고 해도 '전단지를 이용한 단순 홍보'라고 말하면 대책이 없다"고 토로했다.
업계 홍보 탓에 학생들은 '교복 물려입기'나 '중고 교복 구매'를 희망한다고 한 뒤 학교 대신 교복업체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집계결과 예비소집을 마친 전국 특성화고(278개교) 학생 4명 중 1명(24%)은 개별구매를 선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복값 거품을 빼겠다던 교육부의 정책이 오히려 혼란을 가져오자 학부모들도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공교육살리기 학부모연합 관계자는 "상권은 질서가 무너지고, 제도는 실패 위기인데 교육부는 손을 놓고 있다. 22일 기자회견을 열 것"이라고 성토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각 학교에 공문을 내려보내 교복 학교주관구매를 준수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발생하고 있는 문제는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강기정·강영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