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소외 계층 증가, 지역 경제 침체 등 인천 지역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해 ‘사회적 금융’ 도입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9일 인천발전연구원은 ‘인천시 사회적 금융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를 통해 인천에 사회적 금융 인프라가 거의 없다고 지적하며, 사회적 금융 조직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회적 금융은 금융 소외 계층 포용, 지역 밀착형 금융 서비스 제공 등을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마이크로파이낸스, 지역개발금융, 사회목적 투자 등이 포함된다.
인천에는 민간단체인 (재)함께하는인천사람들(함인사)을 제외하면 사회적 금융이라고 할 만한 조직이 없다. 하지만 함인사도 서민층, 청년, 사회적 경제 기업 등을 대상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처음 계획과 다르게 현재는 창업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완전한 사회적 금융 조직이라 보기 어렵다는 게 인발연 설명이다.
인발연은 “자활, 빈곤 탈출, 낙후지역 개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금융이 인천에 꼭 필요하다”며 “문제는 재원 마련인데 인천시의 열악한 재정 상황을 봤을 때 사회성과연계채권과 같은 사회투자상품 활용 등으로 사회적 금융 시스템을 만들어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인발연은 투자자의 자금을 이용해 원하는 사회투자사업을 하고, 성과가 났을 때만 채권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는 사회성과연계채권이 재정 투자 대비 성과가 높을 것으로 분석했다. 인발연은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에서 사회투자사업에 대한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키워 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발연은 또 국내 사회적 금융 관련 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 기존 금융기관의 지역 발전 기여 사업을 활용한 사회투자기금 조성 등도 정책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석진기자
“지역경제 문제 해결 ‘사회적 금융’ 필요”
인발연, 빈곤 탈출·낙후지역 개발위한 조직확대 강조
입력 2015-02-09 22:4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2-10 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