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를 앞둔 경기지역 교장·교감들이 수업참여 여부를 놓고 도교육청과 팽팽한 긴장속에 서로간 치열한 눈치작전을 펼치고 있다.

아직까지 상당수 교장·교감들이 수업참여에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면서 참여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가운데 동료 교장·교감들 눈치에 ‘먼저 수업에 참여할 수도’, ‘도교육청 방침을 거스를 수도’ 없기 때문이다.

신학기가 시작되는 3월1일 일선 학교로 자리를 옮기는 도교육청의 박모(가명) 장학사는 최근 수업참여를 놓고 고민이 많다. 수년만에 학교로 돌아가 학생들과 어울리며, 간간이 수업도 맡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발령받은 학교의 교장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몰라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이다.

박 장학사는 특히 도교육청에서 근무하다 왔기 때문에 당연히 이재정 교육감의 방침에 따라 수업참여를 할 것이란 선입견이 발령지 인근 교장·교감들에게 소문이 나 있다는 이야기를 친분이 있는 교사에게 듣고 고민이 더욱 많아진 상태다.

박 장학사는 “수업에 참여해도 좋고, 안해도 좋지만 교장의 의견과 방침에 전적으로 따를 생각이다”며 “하지만 발령지 인근 교장·교감들 사이에서 (내가) 그 지역의 수업참여 현황을 확인해 도교육청에 보고할 것이라는 소문까지 들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이유는 도교육청이 9시 등교 방침때와는 달리 교장·교감의 수업참여를 종용하고 확인하는 실태 조사를 하지 않고, 자발적인 의사에 맡기기로 했기 때문. 하지만 이 교육감이 최근 본인이 직접 수업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교장·교감들은 상당한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됐다.

수원의 한 중학교 김모 교장도 동료 교장들의 눈치보기는 마찬가지다.

김 교장은 “지난해에도 간혹 학생들 수업을 해 왔고, 올해도 어차피 하려고 했었는데 괜히 이젠 도교육청에 잘보이려고, 앞장서서 수업참여를 하는 것 같아 부담스럽다”며 “차라리 강제로 수업참여를 시키든지 간부들에게 수업참여를 독려하는 연락은 오고, 교장들은 어쩔거냐며 서로 눈치를 보고 있어 더 힘들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김대현·김범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