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객 욕구 못 채워주는 콘텐츠 전시행정일뿐
행복한 삶 위해 고품격 문화장려와 지원책 필수
지난달 26일 미당 서정주 탄생 100주년 기념 시낭송 공연이 있었다. 300석 규모의 동국대학교 이해랑 예술극장에 500명 가까이 운집했다. 관객 대부분은 시가 좋아 스스로 찾아온 중년의 문화 향유자들. 이들은 이날 시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는 경험을 했다. 시가 실시간 소리로 살아 자기 몸에 다가오는 경험을 다양한 방법으로 즐긴 것.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 연극배우, 가수, 시낭송가들은 시의 생명을 매순간 새로 탄생시키고 있었다.
낭송을 마치고 객석에 앉아 있던 이시영 시인이 배우들의 낭송에 감탄사를 연발했다. “연극배우들이 시를 낭송하니 확실히 또록또록 들린다. 시인도 독자를 위해 더 노력해야겠네…!” 낭송의 새로운 모형을 보여준 경우는 시낭송가들. ‘국화 옆에서’가 독송, 윤송, 합송으로 변주되면서 새로운 콘텐츠로 태어나는 순간, 객석 전체에 압도적인 감동이 일었다. ‘신부’를 전통음악으로 작곡하여 초연을 한 주인공은 박정욱 명창. 소리꾼 장사익 역시 미당의 ‘저무는 황혼’을 애절한 가락으로 불러 열화와 같은 호응을 얻었다.
명사들의 인터뷰 장면이 영상으로 소개되기도 했다. 연극배우 손숙 선생의 뼈 있는 말. “요즘 문화융성 문화융성 하는데 그게 별건가. 삶 속에 문화를 들이는 것. 가령 일상에서 시를 자주 낭송하는 것. 우리들 삶 속에, 가슴 속에, 정서 속에 문화나 예술이 촉촉하게 자리 잡을 수 있다면 요즘 같은 각박한 세상이 한결 좋아지지 않을까.” 그런 점에서 이날 공연은 문화융성의 체험현장이었다.
공연 이틀 전, 대통령은 한국메세나협회 회원 기업인들과의 오찬 자리에서 문화융성을 위한 기업 지원을 독려했다. 정부가 정책을 만들고 기업으로 하여금 문화의 발흥을 도울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문화란 근본적으로 지원 개념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논어’ 옹야편에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못 하고, 좋아하는 것은 즐기는 것만 못 하다”는 대목이 있다. ‘즐기는 것(樂之者)’은 최상의 공부 방법이자 높디높은 문화향유의 기품과 관습을 뜻한다. 스스로 좋아한 나머지 삶의 일부로 만들고 싶은 기호와 취향. 좋은 것을 좋다 말하고 아름다운 것을 아름답다 말하는 풍토. 이런 문화가 풍성해야 진정한 문화융성의 나라가 되는 것이다.
즐긴다는 건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 이날 공연 콘텐츠를 채워준 출연자들에 그 답이 있다. 이들은 흔쾌히 재능기부를 했으며 관객들은 고품격의 공연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었다. 출연진들 모두 미당을 사랑하고 존경해서 가능한 일이었다. 시인, 배우, 가수, 낭송가들의 가슴에 미당의 시는 보석처럼 반짝이고 있어서 언제든 꺼내어 보여줄 수 있었던 것이다. 고급문화를 사랑하는 진정한 애호가의 정신을 관객들도 이심전심 공감하게 된 점은 이날 공연의 또 다른 수확이다.
문화행사에 대한 지원도 이런 바탕 위에서 이루어질 때 그 효과가 커지게 마련이다. 수도권과 지방,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의 문화격차 해소도 중요하고 특정한 날을 ‘문화가 있는 날’로 정해 다양한 관람 혜택을 주는 것도 필요하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콘텐츠다. 관객이 보고 싶어 하는 걸 제공하지 못하면 전시행정이 되기 십상인 게 정부 정책이다. 고품격 문화에 대한 장려, 그리고 이를 스스로 즐기는 이들을 위한 지원이야말로 행복한 삶을 위한 문화융성의 지혜로운 방책이다. 백범 김구선생께서도 ‘나의 소원’에서 말씀하시지 않았던가.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윤재웅 동국대 교수·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