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간 보수 5억원 이상 등기이사(임원)의 연봉 공개를 명문화한 자본시장법에 따른 것으로, 지난달 31일 회계연도를 감안한 사업보고를 통해 대기업 임원들의 보수가 공개된 것이다.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이 지난 한 해 동안 146억원을 받으며 올해 대기업 ‘연봉킹’에 올랐다.
일부 재벌 총수 등이 등기임원에서 빠지면서 이번에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종균 사장의 실제 연봉 순위는 5~6위 권에 자리할 것이라는 게 관계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삼성을 단적인 예로 들면,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연봉만이 공개됐으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나 이서현 제일모직 사장의 경우는 공개가 안 됐다. 등기임원이 아니기 때문이다.
등기임원은 법적 권한과 책임을 지는 임원이다. 이사회에서 표를 행사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다. 비등기임원의 경우, 기업의 필요에 따라서 임원직을 주지만 법적 실체는 없다.
재벌 총수 등이 비등기임원이라는 장막 뒤에 숨으면서 해당 기업의 주주들과 시민이 원하는 임원들의 모든 연봉이 공개되지 않은 부분은 책임경영을 부르짖는 대기업과 오너들이 가슴에 새겨야 할 부분이다.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 공개에 자신을 ‘미생’으로 생각하는 많은 직장인은 믿기 어려운 금액에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기업에서 사업 보고한 다음 날인 4월 1일(만우절) 언론에서 공개되기 때문에 차라리 거짓말이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할 정도다.
요 며칠간 국내 포털 사이트의 대화방이나 개인 SNS에는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 공개에 대한 이야기들이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다. 댓글과 댓글로 이어진 결론은 대기업이 연봉은 높지만 울타리(평생직장)가 되어 주지 못하는 부분들을 이야기하며 스스로 위로하는 식으로 갈무리 된다.
생산적 견해들이 댓글에 달리기도 한다. 대기업에 다니진 않지만, 자신의 회사와 업무를 사랑하며 열심히 일하는 자신의 모습에서 자부심을 느낀다는 글들이다.
봄 햇살과 산들바람에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 공개까지, 이 땅의 대다수 직장인의 마음을 흔드는 때이다. 현재 자신의 위치에서 굳건히 두 발을 딛고 서서 ‘미생’에서 궁극의 ‘완생’을 추구하는 직장인들과 함께 ‘파이팅’을 외치고 싶다.
/김영준 인천본사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