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북부지역에서 매년 반복되는 심각한 봄 가뭄을 해결하기 위해 홍수조절용으로 건설된 군남댐·한탄강댐에 가뭄대비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경인일보 3월 13일자 23면 보도)에 관련 기관들이 공식 논의를 시작했다.

경기도는 9일 포천시청에서 열린 ‘임진강 물 부족 해결을 위한 토론회’에서 봄 가뭄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파주시·포천시·연천군 등 지자체 담당자를 비롯해 한국수자원공사·한국농어촌공사 관계자와 함께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토론회에서 장석환 대진대 교수는 “두 댐을 홍수조절용으로 제한한 것은 사회적 합의에 따른 것이었다”며 “이를 바꾸려면 상황 변화를 설명하고 대안과 대책을 확실하게 준비해 불신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남댐과 한탄강댐은 과거 인근 지자체의 극심한 반대로 당초 계획과 달리 홍수조절용으로 건설됐다. 국무총리실까지 나서 수년간 진통을 겪은 끝에 홍수조절용으로 결정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경기 북부지역에 심각한 봄 가뭄이 계속되면서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이날 참석자들은 경기 북부지역의 강우량 감소에 따른 농업 생산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는 점에 공감했다. 임진강 수위가 낮아지면서 한강 하구인 파주 지역에서는 바닷물이 역류해 염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염도 상승으로 농업용수로도 사용하지 못해 농업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사실상 가뭄 대비책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군남댐과 올 하반기 완공되는 한탄강댐의 수위를 기존 계획보다 수천만t 더 저장해 봄철 영농기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지자체의 공통된 주장이다. 김용호 한국농어촌공사 부장은 “담수 확대 등 기존 댐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기존 댐의 담수화 대책보다 댐을 새로 건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강한중 한국수자원공사 임진강사업본부장은 “한탄강댐에 물을 더 가두면 수몰지역이 생기고 이전 비용이 천문학적이어서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오히려 댐 신설이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김희겸 행정2부지사는 “수년간 반복되는 봄 가뭄으로 농민들이 피해가 심각한 만큼 모든 기관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재훈·김명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