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이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은 진상 규명과 구체적인 선체 인양 계획을 발표하라며 정부를 향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세월호 국민대책회의와 416가족협의회는 지난 10일 오후 2시 30분께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월호 선체인양 ▲참사의 진상규명 ▲진상규명 특별법 대통령안(시행령) 폐기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특히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인양을 적극 검토하겠다’ 등의 애매한 답변이 아닌 인양 결정을 공식적으로 선언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 협의회는 정부가 발표한 진상규명 특별법에서 조사위의 인원과 예산이 당초 안보다 축소됐고, 조사대상인 해양수산부 공무원들이 특별조사위에 포함된 점을 들어 대통령안을 폐기하고 독립적인 진상조사기구를 설립하라고 주장했다.

참사 1주기 추모식과 관련해서는 “선체인양 공식선언과 대통령안 폐기가 이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희생자들을 마음 편히 추모할 수 없다”며 정부와의 협의 내용에 따라 추모식을 취소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10일 오후 4시로 예정된 가족대표와 총리 간 면담은 ‘신고되지 않은 집회’라며 해산을 요구한 경찰에 의해 유가족 90여 명의 발이 묶이면서 성사되지 못했다.

또 11일 광화문광장에서 치러진 추모 문화제에서는 오후 7시께 7천여 명의 행사 참가자가 구호를 외치며 청와대를 향해 행진하다 경찰과 충돌이 빚어져 세월호 희생자 고 임경빈 군의 아버지 등 유가족 3명을 포함한 20명이 경찰에 연행되기도 했다.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가족들이 원하는 것은 진실규명과 실종자 수색뿐인데 공권력은 왜 우리를 가로막는지 모르겠다”며 “이 총리가 주선한 면담에 가는 길을 경찰이 막는데 우리는 정부를 어떤 눈으로 보아야 하는 거냐”고 성토했다.

/권준우·조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