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정보에 누리꾼 비난
“심층적 진실 파헤쳐 주길”


세월호 유가족들은 “우리가 들어줬으면 하는 얘기에는 귀를 막고, 듣지 않아도 될 이야기는 필요 이상으로 커진다”고 한탄한다. 자신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 10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벌어진 416가족협의회의 집회 과정에서 유가족들의 불만이 터져 나왔다.

당시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가진 뒤 총리와의 회담을 위해 삼청동으로 이동하던 세월호 416가족협의회 90여 명은 경찰과 충돌했다.

총리 회담에는 가족대표 11명이 참석하기로 돼 있었는데 유가족들은 ‘모두 함께 이동하겠다’고 주장했고 경찰은 신고되지 않은 집회라며 이를 막아섰다. 결국 총리가 먼저 주선한 이날 회담은 파행을 맞았다.

하지만 회담 무산은 엉뚱하게도 유가족들이 마치 정부를 상대로 보상금을 더 받으려고 ‘갑질’을 한 것처럼 비화됐다. 누리꾼들은 포털사이트 댓글을 통해 “그만큼 받아먹었으면 됐지 언제까지 그럴래?”, “유가족이 아니라 유귀족이네” 등의 가시 돋친 비난을 서슴없이 쏟아냈다.

이 과정에서 유가족들이 선체인양과 특별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정부의 보상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발표한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지난 1일 해양수산부가 세월호 유가족들에게 최대 10억여 원의 배·보상금을 지급하는 안을 발표했고 많은 언론이 이를 대서특필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가족협의회는 지난 9일 긴급생계지원비를 지급하겠다는 정부의 통보를 거절했지만 이 역시 크게 알려지지 않았다.

전명선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많은 분들이 세월호 유가족들의 뜻에 공감해주고 있지만 여론을 호도하려는 정부의 시도로 비판적인 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늘고 있다”며 “언론인들이 정부의 호도된 목소리가 아닌 세월호 사고의 심층적인 진실을 파헤쳐 주시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1주기가 이틀 앞으로 다가오면서 각 언론사에서 특집 기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유가족들은 몰려드는 기자들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오히려 대부분의 유가족들은 언론의 인터뷰 요청을 거절하거나 아예 무시하기도 했다.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집회에 참가한 한 유가족은 “참사 1주기가 아니었으면 이렇게 많은 기자들이 왔겠냐”며 “폭행사건 등 자극적인 내용 이외에 우리가 진정으로 하는 이야기에 귀 기울여줬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유경근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오히려 국내 언론보다 국외 언론들이 세월호 사고를 더 심층적으로 보도하고 있다는 항간의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달라”며 “아울러 국민들도 가족을 잃은 슬픔 때문에 거리로 나와 있는 유가족들의 진정성을 좀 더 알아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권준우·조윤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