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상 노린 집단’ 누명까지
일부 폭력사건, 여론 도마
전체 유족에 폭행범 ‘낙인’

사고 1년이 지나면서 우리 사회는 유가족들의 상처를 보듬기 보다는 꼬집고 비트는 일도 적지 않았다. 세월호 유가족이란 이유 하나로, 모든 사생활이 노출되고 ‘사회적 이슈’로 확산되고 있다.
세월호 사건이 난 지난해 4월 16일 이후 안산단원경찰서의 정보보안과와 경비교통과 경찰관들은 단원고등학교와 화랑유원지의 합동 분향소를 대상으로 하루도 빠지지 않고 ‘여객선 침몰 관련 우발 대비’ 경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경찰의 세월호 유가족 동향 파악은 ‘세월호 집중 추모 기간’이 시작된 지난 11일부터 더욱 구체화됐다. 일부 세월호 관련 행사 참가자는 잠정적 범죄자로 분류돼 집중 관리되고 있다.
세월호 유가족의 요구는 ‘진실 규명’과 ‘선체 인양’이다. 다른 대형 인명피해 사고와 달리 세월호 유가족은 누구에게 보상을 요구한 적도 없었다. 하지만 정부는 세월호 1주년을 앞두고 최근 배·보상 계획을 발표하면서 유가족들의 극심한 반발을 샀다.
정부는 배·보상 금액에 위로지원금과 민간 보험금까지 포함시켜 부풀려 발표하면서 유가족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시선은 ‘보상을 노린 집단’으로 비쳐지고 있다.
세월호 유가족이 연루된 폭력 사건이 여론의 도마에 오른 사례도 당사자뿐 아니라 유가족 전체에 큰 아픔으로 남아 있다. 지난달 안산 단원구 선부동의 한 호프집에서 가게 주인과 유족들 사이에 벌어진 폭행 사건은 방송·신문·인터넷 등에 주요 뉴스로 전해졌다.
이는 지난해 ‘대리기사 폭행 사건’과 연결돼 세월호 유가족은 폭력 집단으로 낙인찍혔고 유가족의 아픔에 공감해 온 일부 시민들조차 등 돌리게 했다. 유가족 상당수는 동네 호프집에서 벌어질 수 있는 단순 사건이 하루가 지난 뒤 외부에 공개된 이유가 궁금하다.
당시 사건을 수사한 안산 단원서 관계자는 “절차대로 했다”는 입장만 반복할 뿐 궁금증을 풀어주지 못했다.
/김명래·권준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