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의 대기업 아파트 브랜드 명칭 사용과 관련, 수원시가 시민의견 수렴을 소홀히 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경인일보 4월 21일자 17면보도) 경제정의실천연합(이하 경실련)이 수원시의 밀어붙이기식 행정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22일 수원 경실련은 홈페이지를 통해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관리 및 운영조례안’에 대한 공식입장을 내고 “수원시립미술관의 명칭을 두고 지역 시민단체와 수원시가 입장차를 보이며 합의점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수원시가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며 조례안을 입법예고한 것은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겠다는 것”이라며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경실련은 “시가 조례안을 입법예고하며 브랜드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 것은 미술관 명칭 논란에 대해 더 이상 다른 의견을 수렴하지 않겠다는 일방적인 선언”이라고 비판하며 “해당 조례안이 5월 임시회를 그대로 통과한다면 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술관 명칭은 논의할 수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실련은 그동안 ‘소통’과 ‘열린 행정’, ‘주민 참여의 확대’ 등을 강조해왔던 염태영 수원시장의 시정 철학이 과연 무엇을 위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또한 지역 사회의 깊은 갈등으로 비화된 수원시립미술관 명칭 사태에 대해 수원시 의회의 역할도 강조했다. 경실련은 “5월 임시회에서 수원시의회 차원의 심도 있는 논의와 대안이 마련돼야 하며 갈등을 조정해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더불어 미술관 명칭과 관련해 추가적인 공론의 장을 마련할 것을 수원시에 요구했다.
수원 경실련은 “시민배심법정 등 시민들이 참여하는 논의 과정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한다”며 “수원시의회도 집행부와 현대산업개발, 시민사회단체들과 문화예술인 등이 모두 참여하는 공청회 등을 마련해 사회적 합의점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지영·유은총기자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명칭… 밀어붙이는 행정 경실련 ‘제동’
홈페이지에 우려 입장 표명
수원시에 시민공론의장 마련 요구
입력 2015-04-23 18:4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4-24 1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침묵깬 현산 “아이파크 명칭 강행” 갈등 고조
2015-03-24
-
수원시마저 “아이파크 명칭 공식화”
2015-03-25
-
시립미술관 ‘아이파크’ 명칭… 수원민예총, 반대행렬 동참
2015-04-08
-
전국으로 번진 ‘아이파크미술관’ 논쟁
2015-04-12
-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무엇이 문제인가·1] ‘기부채납 vs 순수기부’ 논란
2015-04-19
-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무엇이 문제인가·2] 불투명한 명명, 건립절차
2015-04-20
-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무엇이 문제인가·3·끝] 막대한 운영비… 대책은?
2015-04-21
-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무엇이 문제인가]인터뷰/원용진 문화연대 대표
201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