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 산재한 하천에서 오염으로 인한 물고기 집단폐사 등 생태계를 파괴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나 제대로 원인조차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인해 수질오염에 대한 근본대책 마련 등 우기를 앞둔 하천관리 문제가 심각하다. 최근 5년 사이 도내에서 발생한 수질오염 사고는 155건에 달한다. 이 가운데 물고기가 집단폐사한 사례는 38건으로 지난해에만 16건이나 발생했다. 38건의 물고기 집단폐사 발생사고 원인중 오·폐수 유출로 인한 사고가 10건으로 가장 많고 용존산소량 부족이 8건, 유독물 유출이 3건, 그리고 나머지 17건은 원인 조차 파악이 안된 상태다. 하천오염에 대한 감시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실상 물고기의 집단폐사 등 사고 현장이 나타나야 수질오염의 근원지를 찾는 수준이다.

물고기 폐사가 오·폐수나 유독물에 의한 거라면 사고 지점 주변 오수관로와 지천 등에 대한 수질 검사를 통해 원인을 밝혀낼 수 있다. 그러나 죽은 물고기의 경우 폐사 원인을 전문적으로 검사하는 기관이 없어 원인 규명이 안되고 있다. 현재 각 시·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가 물고기에 대한 검사를 하고 있지만 이들은 살아있는 물고기의 질병 검사만을 전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해도 죽은 물고기에 대해선 검사 기능이 없다는 것이다. 하천오염과 생태 파괴 등 본질적인 검사엔 손을 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고기 집단 폐사에 대한 원인 규명과 사후 조치, 대응방안 등엔 속수무책인 셈이다.

올들어 지난 4월 초엔 봄철 가뭄으로 수위가 낮아진 안양천에서 잉어 등 30~40㎝짜리 물고기 700~800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이같은 사고에 대해 당국은 가뭄으로 한강물이 역류하면서 강바닥에 쌓였던 유기물이 올라와 용존 산소가 부족해 폐사된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안양천뿐아니라 최근 수원천에서도 물고기 집단 폐사 사고가 일어났으나 정확한 조사와 근본 대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방 하천의 오염은 대부분 인근 공장에서 방류되는 오·폐수 때문이다. 앞으로 5·6월 우기엔 공장 오·폐수 무단 방류 행위가 극성을 부려 하천 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물고기 집단 폐사에 대한 원인조차 밝히지 못하는 시스템으론 하천오염을 막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