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기 발견·치료 완치·생존율 ↑
최근 언론에서 자주 거론되는 갑상선암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처음에 몇몇 의사가 갑상선암이 유독 급격하게 증가하는 원인을 지나치게 활성화돼 있는 암 검진(갑상선 초음파)에 주목했고, 갑상선 초음파를 검진 목적으로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갑상선암 진단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됐다.
우리나라 암 진단 통계에서 갑상선암의 진단율을 살펴보면 남자는 진단율이 조금씩 증가하지만, 여자의 진단율은 과거 10년 사이에 거의 10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다른 암의 진단율은 증가가 완만한 것도 있고, 오히려 남자의 간암처럼 감소하는 경우도 있지만, 갑상선암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과가 양호해 심각한 건강 위해가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극히 적기 때문에 전문가들로부터 이같은 공격을 받기 쉽다.
여기서 우리는 ‘그럼 왜 암 검진을 해야 하는가?’라는 원론적인 질문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건강검진은 암이건 만성질환이건 조기발견을 해야 한다. 특히 암은 조기 발견되면 완치율이 높고 사망 위험을 줄어든다.
대표적으로 위암의 경우에는 최근 위암 초기상태에서 발견돼 위내시경적 절제술을 통해 배를 열고 위 절제를 하는 수술을 피하는 성과를 내고 있으며 그만큼 사망률도 줄고 있다. 폐암은 워낙 조기 발견이 어렵고, 단순 흉부 엑스레이로 진단하기도 어려워서 고위험군의 경우 매년 저선량 흉부 CT 촬영을 권장했다.
국가암관리사업에서 추천하고 있는 암 종별 대상자 연령기준 및 검진주기를 보면,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달리 국가검진이 매우 활성화돼 있는 나라다. 암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에 대한 검진을 2년마다 무료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갑상선암은 포함되지 않는다. 갑상선암의 경우 암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무증상자에 대한 건강검진의 필요성도 없다는 것이다.
물론 반론도 만만치 않다. 일부이긴 하지만 만져지지 않는 작은 갑상선암도 주변 경부 림프절이나 폐로 전이 돼 치료에 많은 고생을 하고 심지어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을 위한 노력이 정당하다는 의견도 있다.
매년 20만 명이 새로 암을 진단받고, 7만 명이 암으로 사망에 이른다. 암 검진을 통해 암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에 적절히 치료해 완치율과 생존율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물론 우리의 보건의료 환경과 제도 속에서 국민을 지나치게 건강염려증 상태로 만들어 가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봐야하고 잦은 건강검진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깊이 있는 검토도 진행돼야 한다. 하지만 마치 갑상선암으로 진단받은 후 치료하지 않고 지내도 상관없다는 오해는 금물이다. 갑상선암도 암이다.
/김대중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