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네팔에 덮친 규모 7.8의 강력한 지진으로 3천500여 명이 사망하고 7천여 명이 부상당했다. 이번 지진 참사는 1934년 카트만두에서 1만명 넘게 사망한 대지진 이후 81년만에 닥친 최악의 사태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2㎞, 관광도시인 포카라 동쪽 68㎞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지진은 카트만두를 휩쓸고 인근 중국과 인도, 에베레스트산 베이스캠프까지 덮쳐 사상자를 냈다. 183년의 역사를 가진 62m높이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다라하라 타워도 무너지고 전망대에 있던 관광객 등 180여명도 목숨을 잃었다.
자연의 재앙은 이렇듯 상상을 허락하지 않는다. 사전에 대비했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는 있으나 원천적으로 피해가기는 쉽지 않다. 이번에 피해가 컸던 이유 중 하나는 네팔이 지진사태에 거의 무방비 상태였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한반도의 3분의 2 크기인 네팔은 1인당 GDP(국내총생산)가 약 700 달러의 최빈국으로 건축물의 안전 규제가 거의 없는 나라다. 철골이나 콘크리트 건물이 드물고 벽돌로 쌓은 건물이 대부분이어서 지진에 취약할 수 밖에 없었다. 인명 피해가 컸던 이유다. 히말라야 산맥을 끼고 있어 지질학적 구조상 지진이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지역임에도 대비에 소홀했다.
우리나라도 비교적 지진에 안전한 지역이라고 하지만 방심할 형편은 아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연평균 지진 발생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1978년 기상대 관측이후 1980년대 16회에서 2000년대엔 44회, 2010~2014년엔 58회, 올들어서만 13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위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증거다. 지난해 수도권에선 옹진과 광주에서 2.2~3.2의 지진이 발생했다. 언제 재앙이 닥칠지 모르는 상황이다. 아직 우리는 지진 등에 대한 안전이 확보돼 있지 않은 상태다. 국내의 내진설계 적용대상 공동주택 30만7천여 동 중 내진 기능이 있는 건물은 60%인 18만5천여 동에 불과하다. 그것도 정확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진 재난시 피해 여부는 가늠하기 힘든 상태다. 교량·터널·지하차도 등 위험시설도 66.7%가 내진 설계가 안돼 있다. 네팔 참사를 남의 일로만 볼 수 없다. 각종 시설물의 내진 설계 등 지진에 대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한반도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입력 2015-04-27 20:1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4-28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