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9 재보선 전패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이번 선거결과는 저희의 부덕함에 대한 유권자들의 질책일 뿐, 박근혜정권과 새누리당에 면죄부를 준 것이 아니다”라며 “박근혜 정권과 새누리당이 민심을 호도하면서 불법 정치자금과 경선 및 대선자금 관련 부패를 덮으려 하거나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을 가로막으려 한다면 우리 당은 야당답게 더욱 강력하고 단호하게 맞서 싸우겠다”고 밝혔다. 국민에게 송구하다는 뜻을 밝혔지만, 패배후 첫 회견치고 지나치게 강경한 발언 일색이다. 이번 패배를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지난해 7·30 재보선 때 비노 지도부가 친노의 등쌀에 못이겨 사퇴한 것과 비교하면 너무도 다른 대응이다.
새정치연합의 심장부라 할 수 있는 광주에서도 패하는 등 단 한석도 건지지 못했음에도 문 대표가 선거결과에 굴하지 않고 “정면돌파하겠다”는 강경 발언은 매우 부적절하다. 물론 ‘이기는 정당론’을 내세웠던 그가 ‘패장’인 상태에서 물러난다면 대권가도에 제동이 걸릴 뿐 아니라 내년 총선을 앞두고 있는 친노 진영의 미래도 더욱 어두워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내린 나름의 고육지책일 수도 있다. 하지만 문 대표는 보다 처절하고 근본적인 자성과 함께 선거 패배 책임자로서의 분명한 사과의 메시지를 내놨어야 했다. 진정이 담긴 사과 한마디 없이 대충대충 현 상황에 대한 수습을 시도하려 한다면 이는 오산이다. 문 대표가 아직도 민심을 못읽고 있다는 얘기다.
새정치연합의 패배는 새누리당이 잘했기 때문이 아니다. 야당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체질 개선이 절대 필요하다는 민심의 발로다. ‘야당의 분열’이 이번 선거 패인이라고 여전히 생각한다면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획기적인 당의 체질개선 없이는 내년 총선의 패배도 불을 보듯 뻔하다. 새누리당 역시 마찬가지다. 현 정부와 정치권에 면죄부를 준 것이 아니다. 정쟁을 중단하고 산적해 있는 경제 현안을 처리해 달라는 주문이다. 그 시험대가 공무원연금 개혁이다. 야당은 선거 패배에 대한 속죄로 여당보다 오히려 한발 빨리 국회로 달려가 산적한 민생법안을 처리해야 한다. 국민들이 새정치연합에 원하는 건 ‘정권심판론’이 아니라 국민을 위한 정치,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4·29 민심(民心) 못 읽는 정치권
입력 2015-04-30 20:2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01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