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에 따르면 문학산 정상부에 미군 방공포대가 들어선 것은 1965년 6월 1일이다. 이 진지를 한국군이 인수해 1977년 방공포병 부대를 창설했다. 2000~2005년 봉재산 미사일 기지를 영종도로 이전할 때, 문학산 진지에 있던 통제장비도 영종도로 옮겨졌다. 현재 문학산 군부대에는 12개 동의 시설과 군·소방 무선통신망 운용을 위한 무인중계기 등 장비 일부만 있다. 상주하는 군인도 없다.
하지만 문학산 정상부는 여전히 ‘군사기지·군사시설 보호구역’(통제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이 때문에 정작 ‘땅 주인’(인천시민)은 출입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군부대 주둔으로 인해 유적도 훼손됐다. 미군이 주둔할 때 문학산성(인천시 기념물 제1호) 성벽이 많이 헐리고 봉수대가 소실됐다. 한국군 인수 후에는 산성 안에 있던 우물이 매몰됐다고 한다.
문학산 정상부를 통제보호구역에서 해제할 계획은 없는지 군에 물었다. 군은 “적의 공중 공격을 차단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장소이기 때문에 유사시 방공 작전 수행을 위한 주요 진지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현재는 훈련장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별도의 해제 계획은 없다”고 답변했다. 쉽게 말하자면, 북한이 군사적 도발을 감행하거나, 전쟁이 터졌을 때를 대비해 해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송도국제도시 조성 등 공유수면 매립으로 인해 인천의 지형이 많이 바뀌었다. 더욱이 봉재산과 문학산에 있던 미사일 발사 기지와 통제 장비도 10년 전 영종도로 이전한 상태다. 군이 인천시에 시유지 사용료를 내고 있는 것도 아니다.
군은 문학산 정상부 개방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인천시민의 땅을 인천시민에게 돌려주는 것은 당연한 일 아닌가. 문학산 정상부는 군의 계획대로 유사시에만 진지로 활용하면 된다. 군이 유사시에 문학산 정상부를 주요 진지로 쓰는 것까지 뭐라고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목동훈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