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항동의 롯데아웃렛 신규오픈 임박에 즈음해서 인근 지역 상인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차로 5분 또는 10분 거리의 신포문화거리 상인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하도상가를 전통상권으로 인정치 않은 중구청의 안이한 태도는 점입가경이다. 롯데 항동점에서 불과 3㎞거리에 있는 동인천지하상가는 롯데쇼핑이 제출한 상권영향평가서 및 지역협력계획서에 아예 빠져 있는 것이다. 인현지하상가·새동인천지하상가는 물론 부평·주안·제물포 등의 지하도 상인들은 법이 개정될 때까지 투쟁할 것을 선언했다.
장기불황에다 경쟁격화에 따른 백화점과 대형할인점의 매출부진이 직접적 배경이다. 백화점의 매출증가율은 2011년 11.4%에서 2013년 2.6%로 크게 감소했을 뿐 아니라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매출액이 1.9%나 감소했다. 대형할인점은 정부규제에다 온라인 장터와 소셜커머스와의 경쟁으로 입지가 좁아졌다. 최근 해외직구붐에 편승한 글로벌 유통공룡들의 국내 상륙은 또 다른 위협요인이다.
신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아웃렛에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롯데와 신세계·현대 등 유통 3대 기업은 금년에만 전국에 10여 곳의 점포를 개설할 계획이다. 아웃렛을 ‘철 지난 물건을 싸게 파는 곳’이 아닌 쇼핑과 문화생활·휴식 등이 가능한 복합놀이공간으로 만들어 소비자를 유인한다는 구상이다. 롯데쇼핑은 작년 말에 문을 닫은 롯데마트 항동점을 지상 6층, 지하 1층의 아웃렛으로 재단장해 5~6월에 개점함은 물론 금년 하반기에 광교신도시, 경남 진주에 도심형 아웃렛을 개점할 예정이다. 프리미엄 아웃렛과 복합쇼핑몰 개점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동내 상권 위축에서 비롯된 내수부진이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 사회적비용의 빠른 증가도 같은 맥락이다. 장기간 지속해 온 유통산업 근대화정책이 결정적 요인이다. 인천은 특히 대형할인점의 밀집도가 전국에서 가장 높아 업태변경 검토대상도 많을 수밖에 없다. 매출부진을 겪고 있는 롯데백화점 부평점도 아울렛으로 전환한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파주와 여주 등 교외의 아웃렛만으로도 주변 상권의 매출이 30~40% 떨어지는 실정이다. 영세상권 압살하는 유통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세상권 위협하는 유통정책 재검토해야
입력 2015-05-03 18:5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5-04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